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01.17 2018나40371
양수금
주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제1심판결의 주문 제1항은 이...

이유

1. 기초사실

가. 피고는 주식회사 C으로부터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고 신용카드이용대금 3,101,142원 및 이에 대한 이자 등을 변제하지 아니하였다.

나. 주식회사 C은 2002. 10. 31. D 주식회사에 피고에 대한 이 사건 카드대금채권을 양도하고 그 무렵 피고에게 위 채권양도사실을 통지하였다.

다. D 주식회사는 서울남부지방법원 2006가소25217호로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카드대금의 지급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여 2006. 4. 19. “피고는 원고에게 6,297,043원 및 그 중 3,101,142원에 대하여 2005. 10. 19.부터 갚는 날까지 연 20%의 비율에 의한 금원을 지급하라”는 내용의 판결(이하 ‘선행판결’이라 한다)을 선고받아 그 판결이 2006. 5. 12. 확정되었다. 라.

D 주식회사는 2011. 6. 15. 원고에게 이 사건 카드대금채권을 양도하고 2011. 7. 20. 피고에게 채권양도사실을 통지하였다.

마. 2014. 1. 13.을 기준으로 이 사건 카드대금채권의 원리금은 12,008,028원이고, 그 중 원금은 3,050,822원이다

(D은행은 선행소송의 송달료 환급금 50,320원을 선행판결원금 3,101,142원에서 공제하였다). 【인정근거】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6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피고는 이 사건 카드대금채권의 최종양수인인 원고에게 원리금 12,008,028원 및 그 중 원금 3,050,822원에 대하여 이 사건 소장 부본 송달 다음날인 2014. 8. 8.부터 다 갚는 날까지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정한 연 15%의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고, 원고가 위 선행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의 소멸시효 연장을 위하여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이상 이 사건 소는 시효중단을 위한 제소로서 권리보호이익이 존재한다.

3....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