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06.29 2017가합567103
건물명도(인도)
주문

1. 원고(반소피고)에게,

가. 피고(반소원고) B, 피고 주식회사 C, 피고 주식회사 D은 별지목록...

이유

이하 본소, 반소를 함께 본다.

기초사실

원고와 피고 B 사이의 임대차계약 체결 원고와 피고 B은 2016. 12. 15. 피고 B이 원고 소유의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중 6층 전체 282.59㎡와 7층 전체 222.92㎡(이하 ‘이 사건 임대차 목적물’이라 한다)를 2017. 2. 1.부터 2022. 1. 31.까지, 임대차 보증금 7,000만 원, 월 임대료 5,207,000원, 월 관리비 2,293,000원(각 부가가치세 별도)에 임차하기로 하는 임대차계약(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8조(권리이전 및 전대 등의 금지)

1. 임차인은 임대인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계약상의 권리를 양도하거나 임대차 목적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대할 수 없다.

임대인의 서면 동의하에 전대하는 경우 사전에 전대계약서를 승인받아야 하며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하여는 전적으로 임차인의 책임으로 한다.

2. 임차인이 전항의 규정을 위반할 경우 임대인은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제9조 (임대차 목적물의 사용 및 협조사항)

1. 임차인은 제1조 제2항에서 정한 임대차 목적물을 임대인의 서면 동의 없이 정해진 용도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3. 임대차 목적물에 대해서 I학생 실습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임차인은 I에서 진행하는 고교생 캠프시 특강이 필요하면 특임교수, 겸임교수 등의 역할을 담당하여 강의에 협조한다.

이때 소정의 강사료를 지급한다.

제15조 (임대인 및 임차인의 계약 해지권)

2. 임차인 및 임대인이 본 계약을 위반하고 시정통지를 받은 후 30일 이내에 이를 시정하지 아니하는 경우 임대인 및 임차인은 통지에 의하여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4. 본조 1항 내지 3항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