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지방법원 2020.06.09 2018가단24291
담장철거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2. 7. 31. 부산 부산진구 E동(이하 ‘E동’이라고만 한다) F 대 100㎡ 토지 및 그 지상 건물에 관하여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쳤고, 피고는 원고 소유 위 땅에 인접한 C 대 194㎡에 관하여 1973. 12. 19., D 대 30㎡에 관하여 1994. 12. 30. 각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쳤다가 위 D 대 30㎡는 C에 합병되었다.

원고가 공로로 통행하기 위해서는 청구취지 기재 ㉮ 부분 및 ㉯ 부분(이하 ㉮, ㉯ 부분을 합하여 ‘이 사건 통로 부분’이라 한다)을 통해야 한다.

나.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주위토지통행권확인 등 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이 사건 통로 부분에 관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피고는 위 통로 부분에 대한 원고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판결(부산지방법원 2016. 7. 15. 선고 2015가단239825 판결)을 선고받아 위 판결이 그대로 확정되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1 내지 1-4, 3, 7-1, 7-2호증, 을 제2호증의 각 기재, 한국국토정보공사에 대한 측량감정 촉탁결과,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단

가. 청구원인 이 사건 통로 부분은 원고 소유 토지에서 공로로 출입하기 위한 유일한 통로임에도 피고가 위 통로에 담장을 설치하였는바, 주위토지통행권에 기하여 피고에 대하여 위 담장의 철거를 구한다.

나. 판단 주위토지통행권의 본래적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그 통행에 방해가 되는 담장과 같은 축조물도 위 통행권의 행사에 의하여 철거되어야 할 것이나(대법원 2006. 6. 2. 선고 2005다70144 판결 등 참조), 다른 한편 주위토지통행권은 공로와의 사이에 그 용도에 필요한 통로가 없는 토지의 이용이라는 공익목적을 위하여 피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무릅쓰고 특별히 인정되는 것이므로, 그 통행로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