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춘천지방법원 2017.10.24 2017가단51811
부당이득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D과 C의 제1매매계약 1) D은 2005. 1. 25. E의 중개로 C으로부터 C의 아들인 F 소유의 춘천시 G 임야 중 약 720평(이하 ‘이 사건 임야’라 한다

)을 2억 1,000만 원(계약금 3,000만 원은 계약 당일, 중도금 5,000만 원은 이 사건 임야에 대한 개발 인ㆍ허가를 완료한 후에, 잔금 1억 3,000만 원은 2005. 6. 30. 각 지급하기로 함)에 매수하는 내용의 매매계약(이하 ‘이 사건 제1매매계약’이라 한다

)을 체결하고, 같은 날 C에게 계약금 3,000만 원을 지급하였다. 2) D은 2005. 7. 중순경 E을 통하여 위 중도금 중 2,500만 원을 C에게 지급하였고, 이 사건 임야에 대한 개발행위허가비용 및 토목공사비용 등으로 약 4,000만 원을 지출하였다.

나. 원고와 H의 제2매매계약 원고는 2005. 7. 22. E의 중개로 H으로부터 강원 화천군 I 외 18필지 합계 45,541㎡(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를 대금 8억 2,656만 원(계약금 2억 원은 계약 당일, 중도금 2억 원은 2005. 10. 24., 잔금 4억 2,656만 원은 2005. 12. 23. 각 지급하기로 함)에 매수하는 내용의 매매계약(이하 ‘이 사건 제2매매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원고는 계약금 2억 원은 계약 당일 지급하였고, 중도금 및 잔금은 이 사건 토지를 분할한 후 미등기 전매하여 받은 대금으로 지급하려고 하였으나 전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중도금을 지급하지 못하여 계약금을 반환해야 할 상황에 처하였다.

다. C의 제1매매계약 해제 요청과 이 사건 1억 원 전달 경위 1 이 사건 임야에 대한 개발행위허가와 토목공사 등으로 이 사건 임야의 시가가 상승하자 C은 D에게 이 사건 제1매매계약의 해제를 요구하였으나, D은 이에 응하지 아니하면서 1억 6,000만 원을 주면 이 사건 제1매매계약을 해제할 의사가 있다는 뜻을 E을 통하여 C에게 전하였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