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7.02.15 2016도15226
사기등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 이유를 판단한다.

1. 검사의 상고 이유에 대하여

가. 외형상으로는 공소사실의 기초가 되는 피고인의 일련의 행위가 여러 개의 범죄에 해당되는 것 같지만 그 일련의 행위가 합쳐 져서 하나의 사회적 사실관계를 구성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법률적 평가는 하나밖에 성립되지 않는 관계, 즉 일방의 범죄가 성립되는 때에는 타방의 범죄는 성립할 수 없고, 일방의 범죄가 무죄로 될 경우에만 타방의 범죄가 성립할 수 있는 비 양립적인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대법원 2011. 5. 13. 선고 2011도1442 판결 참조). 나. (1)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원심 판시 K 아파트와 관련된 부분은, ① 피고인은 위 아파트에 관한 소유권 이전 청구 권가 등기를 말소해 주면 금리가 낮은 곳으로 대출은행을 변경한 다음 곧바로 다시 가 등기를 설정해 주겠다고

H를 기망하여 H로 하여금 가 등기를 말소하게 하여 그에 상당한 재산상 이익을 편취하고, ② 위와 같이 대출은행을 변경한 후 소유권 이전 청구 권가 등기 절차를 이행해 줄 임무에 위배하여, 2009. 11. 2. 자, 2010. 7. 5. 자, 2011. 7. 26. 자, 2011. 7. 28. 자로 위 아파트에 관하여 제 3자 명의로 각 근저 당권 및 전세권 설정 등기를 마침으로써 각 채권 최고액 및 전세금 상당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고 H에게 같은 금액 상당의 재산상 손해를 가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원심은 위 ① 의 사기죄는 유죄로 인정하고, ② 의 각 배임죄의 공소사실에 대하여는, 피고인이 약속대로 가등기를 회복해 주지 않고 제 3자에게 근저당권 설정 등기 등을 마쳐 준 행위는 처음부터 가등기를 말소시켜 이익을 취하려는 사기 범행에 당연히 예정된 결과에 불과 하여 그 사기 범행의 실행행위에 포함된 것일 뿐이므로 사기죄와 비 양립적 관계에 있는 각 배임죄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