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창원지방법원 2016.04.27 2015노2891
향토예비군설치법위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법리 오해 피고인은 여호와의 증인 신도로서 종교적 양심에 따라 예비군 훈련을 거부하였고, 이는 헌법 제 19조에 의하여 보장되는 양심의 자유에 따른 것이며, 우리나라가 1990. 4. 10. 가입한 시민적 ㆍ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에 따라 양심적 병역 거부권이 인정되므로, 이 사건 범행은 향토 예비군 설치법 제 15조 제 9 항이 규정한 ‘ 정당한 사유’ 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나. 양형 부당 원심이 선고한 형( 벌 금 100만 원)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법리 오해 주장에 관한 판단 헌법상 기본권의 행사가 국가공동체 내에서 타인과의 공동생활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헌법적 가치 및 국가의 법질서를 위태롭게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양심의 자유를 포함한 모든 기본권 행사의 원칙적인 한계이므로, 양심 실현의 자유도 결국 그 제한을 정당화할 헌법적 법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헌법 제 37조 제 2 항에 따라 법률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는 상대적 자유라고 하여야 한다.

그런 데 향토 예비군 설치법 제 15조 제 9 항은 가장 기본 적인 국민의 국방의 의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고, 이와 같은 병역의무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국가의 안전보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국민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도 보장될 수 없다.

따라서 병역의무는 궁극적으로 국민 전체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고, 피고인의 양심의 자유가 위와 같은 헌법적 법익보다 우월한 가치라고 볼 수 없으므로 위와 같은 헌법적 법익을 위하여 헌법 제 37조 제 2 항에 따라 피고인의 양심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헌법상 허용된 정당한 제한에 해당한다( 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9도 7120...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