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고등법원 2007. 10. 25. 선고 2006누2779 판결
서류의 송달의 적법 여부[국승]
제목

서류의 송달의 적법 여부

요지

서류의 수령권한을 위임받은 자는 반드시 위임인의 종업원이거나 동거인일 필요 가 없다 할 것임

관련법령

국세기본법 제8조서류의 송달

국세기본법 제10조서류송달의 방법

주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05.01.05. 원고에 대하여 한 2002년 2기 부가세 120,085,815원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농산물 가공 및 저장처리업을 사업목적으로 하는 과 · 면세 사업자인데, 2002년 1기 부가세 확정신고시 합계 172,785,586원(아래에서는 '이 사건 매입세액'이라고 한다)을 환급신청하였고, 피고는 위 환급신청액 전액을 공통매입세액으로 보아 2002년 1기 부가세로 42,136,232원을 경정 · 고지하였다.

나. 그 후 광주지방국세청이 2004.09.03. 피고에 대한 정기감사 도중 원고가 2002년 2기 부가세 확정신고시 이 사건 매입세액을 정산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자 피고는 면세관련 매입세액으로 114,676,556원을 불공제한 후 2005.01.05. 가산세를 포함하여 2002년 2기 부가세로 166,854,380원을 경정 · 고지하였다.

다. 위 부가세 부과처분에 대해 원고가 한 이의신청에 대하여 ○○지방국세청이 원고의 청구 중 일부를 인용하는 결정을 하자, 피고는 위 결정의 취지에 따라 합계 46,768,565원을 감액 · 경정하는 내용의 처분(아래에서는, 위 166,854,380원에서 감액 · 경정된 46,768,565원을 공제한 120,085,815원의 부과처분을 '이 사건 처분'이라고 한다)을 하였다.

라. 이에 원고는 또다시 이 사건 처분에 불복하여 2005.06.20. 국세청장에게 심사청구를 하였으나, 국세청장은 2005.09.30. 위 심사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아래에서는 ' 이 사건 결정'이라고 하고, 그 결정서를 '이 사건 결정서'라고 한다)을 하였으며, 원고는 2006.01.17. 이 사건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내지 3호증, 을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소의 적법 여부

가. 당사자의 주장

피고는 원고가 이 사건 결정을 통지받은 날로부터 90일이 경과한 후에 이 사건 소가 제기되었으므로 이 사건 소는 제소기간이 경과된 부적법한 소라고 주장함에 대하여, 원고는 원고의 전 대표이사인 신00의 예전 형수이었던 문00이 전 남편인 신00와 자녀들이 거주하는 회사 내의 기숙사에 위 자녀들을 보기 위해 며칠 내려와 있다가 이 사건 결정서를 수령하였으나 문00은 원고의 사무원이나 피용자가 아니고, 나아가 위 신00과 동일 세대에서 거주하는 동거자도 아니므로, 원고에 대한 이 사건 결정서의 송달은 부적법하여 무효라고 주장한다.

나. 관계법령

별지기재와 같다.

다. 인정사실

다음의 각 사실은 갑 7호증, 갑 34호증, 을 1호증, 을 2호증, 을 6호증, 을 7호증, 을 11호증의 각 기재와 당심 증인 문00의 증언(다만, 뒤에 믿지 아니하는 부분 제외), 이 법원의 ○○○○우체국장에 대한 사실조회결과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인정할 수 있거나, 기록상 명백하고, 이에 반하는 갑 19호증, 갑 30호증, 갑32호증의 1의 각 기재와 당심 증인 문00의 일부 증언은 믿지 아니하고 달리 반증이 없다.

(1) 문00은 원고의 전 대표이사인 신00의 형인 신00와 1995.09.25. 혼인하였다가 1997.03.11. 이혼한 이후 2004년경부터는 전남 ○○군 ○○읍 00리에서 친어머니와 함께 거주하면서 전남 ○○군 ○○읍 ○○리 0000-00 소재 원고의 사업장에 부속되어 있는 주택(아래에서는 '이 사건 주택'이라고 한다)에서 신00와 함께 거주하는 신00와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들을 돌보기 위하여 거의 매일 평일 오후 2-3시경 이 사건 주택에 가서 저녁식사를 준비한 후 귀가하였다.

(2) 원고의 사업장은 출입구에 가까운 순서로 1층 건물 가동과 나동 냉동보관창고가 위치해 있는데, 1층 건물 가동에는 출입구에 가까운 쪽부터 이 사건 주택, 공동사무실, 멸치건조장, 마늘탈피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3) 신00은 거의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았고 직원들도 현장에 있어서 사무실을 비운 상태였으며, 주로 문00이 이 사건 주택에 있는 시간동안에 우편집배원이 원고에게 우편물을 배달하러 왔고, 사업장에서 일하는 아주머니들로 구성된 일용근로자들은 우편물 수령을 거절하고 이 사건 주택에 있는 직원에게 우편물배달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우편집배원이 사업장 사무실에 직원이 없으면 이 사건 주택으로 와 문00에게 등기우편물 등 우편물을 건넸고 문00은 수령한 우편물을 주로 원고의 사업장 사무실 책상에 올려놓거나 이 사건 주택의 테이블에 놓아두기도 하였으며, 약 7,8년 전 부터 2007.07. 경까지 원고의 우편물을 계속 수령하였고, ○○○○우체국 소속 우편집배원들도 문00을 원고 대표이사의 가족 또는 직원으로 알고 있었다.

(4) 문00은 2005.10.11. 화요일 14:35경 원고의 사업장에서 ○○○○우체국 소속 집배원이 배달한 이 사건 결정서를 수령하면서 당시 이 사건 결정서의 수취인인 신00과는 회사동료의 관계에 있다고 답변하였다.

"(6) 이 사건 소에 관한 피고의 답변서는 2006.06.12. 월요일 14:00경 원고의 위 사업장으로 송달되었는데, 당시 문00은 '송달방법'란의2의 ① 본인 영업소, 사무소의 사무소 또는 피용자'란에 표시하고 '사무원'이라고 관계를 기재한 후 위 답변서를 수령하였고, 2006.07.04. 16:00 진행예정인 변론준비기일 통지서는 2006.06.19. 월요일 13:00 경 원고의 위 사업장으로 송달되었으며, 이때 문00은 '송달방법'란의 '2의 ② 본인 주소, 거소의 동거인'란에 표시하고 '형수'라고 관계를 기재한 후 위 통지서를 수령하였다.",(7) 문00은 주민등록표상 2006.06.23. 이 사건 주택으로 전입신고 되었다가 2006.11.08. 전남 ○○군 ○○읍 ○○리 000-0 로 전출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원고의 대표 이사는 신00이었다가 2006.11.21. 문00의 전남편인 신00가 대표이사로 취임하였다.

라. 판단

국세기본법 제10조 제4항은 서류송달 방법에 관해 송달할 장소에서 서류의 송달을 받아야 할 자를 만나지 못한 때에는 그 사용인 기타 종업원 또는 동거인으로서 사리를 판별할 수 있는 자에게 서류를 송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한편 과세처분의 상대방인 납세의무자 등 서류의 송달을 받을 자가 다른 사람에게 우편물 기타 서류의 수령권한을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위임한 경우에는 그 수임자가 해당 서류를 수령함으로써 그 송달받을 자 본인에게 해당 서류가 적법하게 송달된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러한 수령권한을 위임받은 자는 반드시 위임인의 종업원이거나 동거인일 필요가 없다 할 것이다(대법원 2000.07.04. 선고 2000두1164 판결 참조). 앞서 본 사실에 의해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문00이 원고의 전 대표이사인 신00의 형수이었고, 신00의 형인 신00와 이혼한 이후에도 원고의 사업장에 있는 이 사건 주택에 거주하는 자녀들을 돌보기 위하여 이 사건 결정서 송달일의 3-4년 전 부터 거의 매일 이 사건 주택에 들렀으며, 수년간에 걸쳐 집배원으로부터 원고의 우편물을 수령하여 왔고 집배원들도 문00을 원고 대표이사의 가족이거나 피용자로 알고 있었으며 원고의 대표이사나 다른 직원도 문00의 우편수령에 대하여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점, 문00이 주민등록상 주소를 이 사건 주택으로 옮긴 적이 있는 점, 문00이 이 사건 결정서를 수령한 장소가 원고의 사업장이고 이 사건 결정서와 답변서의 수령 시 관계란에 '회사동료' 혹은 '사무원'이라고 기재한 점, 이 사건 결정서가 송달된 후 이 사건 소에 관한 답변서나 변론준비기일 통지서가 송달되기까지는 약 6개월 이상의 시간적 간격이 있었음에도 위 서류들을 전부 문00이 수령한 점, 문00이 수령한 날짜가 모두 평일인데다가 오후 13:00경 ~ 14:35 경 사이로 근무시간인 점 등을 종합하면, 문00은 원고로부터 우편물의 수령권한을 위임받은 자에 해당한다 할 것이어서, 문00에 대한 이 사건 결정서의 송달은 적법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앞서 본 바와 같이 원고가 이 사건 결정서를 송달받은 2005.10.11. 로부터 90일이 경과하였음이 역수상 명백한 2006.01.17. 에서야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으므로, 이 사건 소는 국세기본법 제56조 제3항 본문 소정의 제소기간이 경과된 후에 제기된 소로서 부적법하다 할 것이다.

3.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하여야 할 것인바, 제1심 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 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관계법령

제8조(서류의 송달)

이 법 또는 세법에 규정하는 서류는 그 명의인(당해 서류에 수신인으로 지정되어 있는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주소 · 거소 · 영업소 또는 사무소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송달(이하 "전자송달"이라 한다)인 경우에는 명의인의 전자우편주소(국세정보통신망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명의인의 사용자확인기호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를 말하며, 이하 "주소 또는 영업소"라 한다]에 송달한다.

제10조(서류송달의 방법)

① 제8조의 규정에 의한 서류의 송달은 교부 · 우편 또는 전자송달에 의한다.

② 납세의 고지 · 독촉 · 체납처분 또는 세법에 의한 정부의 명령에 관계되는 서류의 송달을 우편에 의하고자 할 때에는 등기우편에 의하여야 한다. (단서생략)

③ 교부에 의한 서류의 송달은 당해 행정기관의 소속공무원이 이를 송달할 장소에서 그 송달을 받아야 할 자에게 서류를 교부함으로써 행한다. 다만, 송달을 받아야 할 자가 송달받기를 거부하지 아니하면 다른 장소에서 교부할 수 있다.

④ 제2항 및 제3항의 경우에 송달할 장소에서 서류의 송달을 받아야 할 자를 만나지 못한 때 에는 그 사용인 기타 종업원 또는 동거인으로서 사리를 판별할 수 있는 자에게 서류를 송달할 수 있으며, 서류의 송달을 받아야 할 자 또는 그 사용인 기타 종업원 또는 동거인으로서 사리를 판별할 수 있는 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서류의 수령을 거부한 때에는 송달할 장소에 서류를 둘 수 있다.

제56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① 제55조에 규정하는 처분에 대하여는 행정심판법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동법 제11조 ·제12조 · 제16조· 제20조 및 제26조의 규정은 심사청구 또는 심판청구에 대하여 이를 준용하되, 이 경우 "위원회"는 "국세심사위원회", "국세심판관회의" 또는 "국세심판관합동회의"로 본다.

② 제55조에 규정된 위법한 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은 행정소송법 제18조 제1항 본문 ·제2장 및 제 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 법에 의한 심사청구 또는 심판청구와 그에 대한 결정을 거치지 아니하면 이를 제기할 수 없다.

③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행정소송은 행정소송법 제20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심사청구 또는 심판청구에 대한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한다. 다만, 제65조 제2항 또는 제81조 단서의 규정에 의한 결정기간 내에 결정의 통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결정의 통지를 받기 전이라도 그 결정기간이 경과한 날부터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