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2018.03.21 2017노4677
관세법위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추징에 관한 법리 오해) 관세법 상의 추징은 범죄행위로 취득한 물품의 범칙 당시의 국내 도매가격에 의하여야 한다.

그런 데 원심은 피고인이 범죄행위로 취득한 각 물건의 물품가격에 일률적으로 57.2329% 의 마진율을 적용한 범칙 시가를 추징 액으로 산정하였는바, 위 마진율을 적용한 근거가 없어 위 범칙 시가를 국내 도매가격으로 볼 수 없고, 설령 위 범칙 시가가 ‘ 시가 역산율 표 ’에 의하여 산정된 국내 도매가격이라 하더라도 실제 각 물품의 소비자집단과 수요량이 개별적으로 형성됨을 감안하면 모든 물품에 동일한 마진율을 적용하여 계산된 위 국내 도매가격은 실제 국내 도매가격과 차이가 있음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위 범칙 시가는 피고인이 실제 물품의 판매로 얻는 10~20% 의 이득 상당액을 초과하므로 부당하다.

2. 판단 관세법 제 282조 제 3 항에 의하면, 밀수입 등 죄의 범인으로부터 그 물품을 몰수할 수 없는 때에는 그 몰수할 수 없는 물품의 범칙 당시의 국내 도매가격에 상당한 금액을 범인으로부터 추징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관세법 시행령 제 266조관세법 제 282조 제 3 항에서 ' 국내 도매가격' 이라 함은 도매업자가 수입 물품을 무역업 자로부터 매수하여 국내 도매시장에서 공정한 거래방법에 의하여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가격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관세법상의 국내 도매가격은 물품의 도착 원가에 관세 등의 모든 세금과 통관절차비용 및 기업의 적정이 윤까지 포함한 국내 도매물가 시세인 가격을 뜻하는 것이고, 국내 도매가격의 산정방식의 하나 인 ‘ 시가 역산율 표 ’에 의한 산정도 수입항 도착 가격이나 감정가격을 기초로 관세 등의 모든 세금과 통관절차비용 및 기업의 적정이 윤까지 포함하여 산정하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