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동부지방법원 2018.05.10 2016가합105402
손해배상(의)
주문

1.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당사자들의 지위 원고들은 2016. 1. 31. 사망한 D(이하 ‘망아’라고 한다)의 부모이고, 피고는 E 병원(이하 ‘피고 병원’이라고 한다)을 운영하는 학교법인이다.

나. 분만 전 상황 1) 원고 B는 2013. 8. 14.경 F병원에서 태아성장제한, 양수과소증, 태아심실중격결손이 있다는 진단을 받은 후 임신 37주 5일이던 2013. 8. 16. 14:40경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2) 피고 병원 의료진은 2013. 8. 16. 17:30경 원고 B에 대하여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는데, 당시 망아는 체중 2,101g으로 측정되었고, 양수지수는 3.9cm로 측정되었다.

또한 원고 B에 대한 자궁내진 결과 개대 2cm, 소실도 50%, 불규칙한 진통을 보여 피고 병원 의료진은 같은 날 19:54경부터 전자태아심박동감지기를 통하여 망아의 심박동수를 관찰하였다.

3) 원고 B는 2013. 8. 17. 08:00경 자궁내진 결과 개대 2cm, 소실도 50%로 분만진통이 시작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였는데, 같은 날 23:30경 태아심박동 110-120회/분으로 변이성이 약하여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 B에게 비강으로 산소 3L/분를 공급하였고, 이후 2013. 8. 18. 01:15경 태아심박동은 130-160회/분을 유지하면서 변이성이 호전되었다. 4) 원고 B의 태아심박동은 2013. 8. 18. 10:00경 일시 100회/분까지 떨어진 후 바로 회복되었고, 2013. 8. 19. 02:40경 90회/분, 05:25경 90회/분, 05:30경 60회/분까지 일시 떨어졌으나 곧 회복되었으며, 이에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 B에게 산소 3L/분을 투여하였다.

5 피고 병원 의료진은 2013. 8. 19. 13:00경 원고 B에 대하여 태아심장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뚜렷한 구조적 이상이 없어 원고 B에게 이를 설명하였고, 이후 원고 B의 요청에 의하여 자연분만을 시도하되 응급상황 시에는 제왕절개술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