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17.05.30 2017가단3393
건물명도(인도)
주문

1. 피고는,

가. 원고로부터 13,000,000원에서 2017. 3. 29.부터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의 인도...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2016. 3. 29. 피고와 사이에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임대차보증금 20,000,000원, 차임 월 1,400,000원, 임대차기간 2016. 3. 29.부터 2018. 3. 28.까지로 하되, 차임 연체액이 2기에 달하는 경우 해지할 수 있는 내용의 임대차계약(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나. 피고는 원고에게 임대차보증금을 지급하고 이 사건 건물을 인도받아 현재까지 이를 사용ㆍ수익하고 있다.

다. 한편 피고가 5개월분에 이르도록 차임을 지급하지 않자 원고는 이 사건 소장 부본의 송달로써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해지한다는 의사표시를 하였고, 이 사건 변론 종결일에 가까운 2017. 3. 28.까지 연체 차임은 총 7,000,000원(= 1,400,000원 × 5개월)이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호증의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 단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임대차계약은 피고의 2기 이상의 차임 연체를 이유로 한 원고의 해지 의사표시로 적법하게 해지되어 종료되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건물을 인도하고, 미지급 차임 및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다만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경우 임대인의 임대차보증금 반환의무와 임차인의 목적물 인도의무는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고, 임대차보증금은 차임 채무 등 임대차에 따른 임차인의 모든 채무를 담보하는 것으로서 임대차계약 종료 후 목적물의 인도 시까지 발생하는 임차인의 부당이득금 채무도 별도의 의사표시 없이 임대차보증금에서 당연히 공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고는 ① 원고로부터 잔존 임대차보증금 13,000,000원(= 20,000,000원 - 2017. 3. 28.까지 연체 차임 7,000,000원)에서 2017. 3. 29.부터 이 사건 건물의 인도 완료일까지 월 1,400,000원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