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6.05.12 2016다2970
배당이의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피고가 원고에 대한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에 관한 집행력 있는 판결정본에 기하여 그 판시 경매절차에서 배당요구를 한 데 대하여 그 경매절차의 채무자인 원고는 위 판결에 의한 채권의 존부와 범위를 다투면서 이 사건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집행력 있는 집행권원의 정본을 가진 채권자에 대하여 이의한 채무자는 배당이의의 소가 아니라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하여야 하므로(민사집행법 제154조 제2항),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배당표에 대한 이의의 진술 후 제기하여야 하는 청구이의의 소는 그 제소기간이 배당기일부터 1주 이내로 제한되어 있어(민사집행법 제154조 제3항), 이 사건 배당이의의 소를 청구이의의 소로 변경하더라도 제소기간을 준수하지 못하여 부적법한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원심이 청구이의의 소로 청구취지 변경을 하도록 하지 않았다고 하여 그것이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석명의무 위반이라고 할 수도 없다.

배당이의를 한 채무자가 그 절차에서 다툴 시기를 놓친 때에는 부당이득반환 청구 등 다른 권리구제 방법에 의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