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지방법원 2018.12.19 2018가합100704
손해배상(기)
주문

1. 원고들의 피고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기초사실

원고

A는 2014. 9. 30. 피고와 사이에 부천시 소사구 C 인근에 D시설을 건설하고 관리ㆍ운영하는 사업(이하 ‘이 사건 사업’이라 한다.)에 관하여 별지 기재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사업추진협약(이하 ‘이 사건 협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피고는 원고 A가 이 사건 협약 제5조 제2항 제2호에 따라 위 협약 체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출자회사를 설립하지 못하자 2015. 9. 7. 원고 A에게 ‘이 사건 협약 해지권을 2015. 10. 20.까지 유보하고, 2015. 10. 20.까지 출자회사를 설립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사건 협약을 해지하고 협약이행보증금 귀속 절차를 진행하겠다’라고 통보하였다.

그러나 원고 A는 2015. 10. 20.까지 출자회사를 설립하지 못하였고, 피고와 원고 A는 2015. 10. 27. ‘원고 A가 피고의 이 사건 협약 해지 통보 전(2015. 10. 28.)까지 출자회사 설립을 인정할 수 있는 조치(주금납입, 설립등기신청, 협약이행보증금에 이의제기 않겠다는 공증)를 해오는 경우에는 피고가 이 사건 협약을 해지하지 않고 이 사건 사업을 진행한다’는 내용의 약정(이하 ‘이 사건 약정’이라 한다.)을 하였다.

원고

A는 2015. 10. 26. 원고 B을 설립하기 위한 창립총회 및 이사회를 개최하여 정관을 작성한 후 주금을 납입하였고, 2015. 10. 27. 원고 B에 관한 법인설립등기신청을 마쳤다.

피고는 2015. 10. 28. 16:00경 내지 17:00경 원고 A로부터 이 사건 약정에 따라 출자회사 설립조치를 취하였다는 연락을 받지 못하자 ‘2015. 10. 20.까지 출자회사가 설립되지 않아 이 사건 협약을 해지한다’라는 내용의 통보서 이하 '이 사건 통보서'라 한다.

를 작성하여 내부 결재를 마쳤다.

원고

A는 2015. 10. 28. 17:50경 피고를 방문하여 피고에게 주금납입 보관증명서, 법인설립등기신청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