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7.07.21 2016누79436
건축이행강제금부과처분취소
주문

1. 원고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들은 서울 중구 C 지상 건물(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의 공유자이다

(원고 A 지분 2/3, 원고 B 지분 1/3, 소유권이전등기일 각 2005. 8. 10.). 나.

피고는 2004년 이 사건 건물 중 2층 151.57㎡에 대한 무단개축 및 2층 7.2㎡에 대한 무단증축 사실을 적발하였고, 이를 이유로 2006년 이후 매년 이행강제금을 부과해 오던 중 2014년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 부과예고를 거쳐 2014. 12. 10. 원고 B에게 위 위반 부분에 대하여 “시멘트 벽돌조” 구조지수를 적용하여 2014년도 이행강제금 24,323,000원을 부과하였다

(이하 ‘당초 처분’이라 한다). 원고 B은 2014. 12. 16. 위 부과고지서를 송달받았다.

다. 원고 B은 2015. 3. 17. 당초 처분에 대하여 행정심판을 청구하면서 이행강제금 액수 산정 과정에서 이 사건 건물의 소유 지분에 따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였고, 이에 피고는 2015. 4. 16. 위 위반 부분의 면적을 원고들의 소유 지분에 따라 별지1 목록 기재와 같이 나누어, 원고 B에 대한 당초 처분을 8,108,000원으로 정정고지하고(이하 ‘원고 B에 대한 정정고지’라 한다), 원고 A에 대하여 이행강제금 16,215,000원을 부과하였다

(이하 ‘원고 A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이라 한다). 위 금액은 이 사건 건물의 용도를 근린생활시설이 아닌 판매시설로 보아 산정한 금액이다. 라.

원고

B은 2015. 5. 4. 당초 처분에 대한 위 행정심판청구를 취하하였고, 그후 원고들은 2015. 5. 13. 원고 B에 대한 정정고지와 원고 A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을 대상으로 행정심판을 청구하였는데, 2015. 7. 13. 모두 기각되었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 을 제17호증의 각 기재(가지번호 포함),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 B의 소의 적법...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