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의정부지방법원 2015.04.24 2014가합55373
청구이의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C와 동업으로 장사를 하던 중 2004. 1. 5. C의 형인 피고로부터 145,000,000원을 차용하고, 2004. 10. 20.까지 변제하기로 약정하였다

(이하 ‘이 사건 대여금’이라 한다). 나.

피고는 이 사건 대여금을 변제받지 못하자, 2008. 5. 9. 원고를 상대로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시법원 2008차1851호로 위 대여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내용의 지급명령을 신청하였고, “원고는 피고에게 153,849,989원 및 독촉절차비용을 지급하라”는 내용의 지급명령정본이 원고의 장모인 D에게 송달되어 2008. 8. 15. 확정되었다.

다. 원고는 2011. 12. 12. 의정부지방법원에 파산 및 면책(2011하단5153, 2011하면5145)을 신청하여 2012. 8. 16. 파산선고를, 2013. 3. 12. 면책결정을 받았고, 위 면책결정이 2013. 3. 27. 확정되었는데, 원고는 위 면책신청 당시 위 지급명령정본 채무(이 사건 대여금 채무)를 채권자목록에 기재하지 아니하여 위 채무가 누락된 상태로 위 면책결정이 내려졌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호증, 갑 제3호증의 1, 2, 3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 원고는, 피고의 동생인 C가 이 사건 대여금 채무를 직접 해결하겠다고 하여 이를 믿고 악의 없이 이 사건 대여금 채무를 채권자 목록에 누락한 것이므로 이 사건 대여금 채무에도 면책의 효력이 미치고, 따라서 이 사건 지급명령정본에 기초한 강제집행은 허용될 수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3. 판단

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566조 제7호에서 말하는 ‘채무자가 악의로 채권자목록에 기재하지 아니한 청구권’이라 함은 채무자가 면책결정 이전에 파산채권자에 대한 채무의 존재 사실을 알면서도 이를 채권자목록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를 뜻하므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