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5.26 2014가합44562
부당이득금반환
주문

1.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원고의 주장 원고는 2007. 1. 29. D으로부터 D 소유의 평택시 E 9필지 1443평을 평당 80만 원에 매수하였다.

그런데 위 토지 중 F 답 694㎡(210평, 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는 토지거래허가지역이어서 주소지가 제주도인 원고가 토지거래허가를 받을 수 없어 피고들에게 명의를 빌려달라고 부탁하였고, 피고들이 이를 승낙하여 2007. 10. 11.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D으로부터 직접 피고들에게 공유지분 각 1/2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위와 같은 원고와 피고들 사이의 명의신탁 약정은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이라 한다)에 따라 무효이므로, 피고들은 원고에게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취득하기 위하여 지출한 위 1억 6,800만 원(=210평×80만 원) 중 각자의 공유지분에 따라 각 8,400만원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

판단

부동산실명법에 의하면, 이른바 3자간 등기명의신탁의 경우 명의신탁약정과 그에 의한 등기가 무효로 되고 그 결과 명의신탁된 부동산은 매도인 소유로 복귀하므로, 매도인은 명의수탁자에게 무효인 그 명의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고, 한편 부동산실명법은 매도인과 명의신탁자 사이의 매매계약의 효력을 부정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여 유예기간 경과 후에도 매도인과 명의신탁자 사이의 매매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므로, 명의신탁자는 매도인에 대하여 매매계약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으며, 그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매도인을 대위하여 명의수탁자에게 무효인 그 명의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다

(대법원 2002. 3. 15. 선고 2001다61654 판결 참조). 따라서 3자간 명의신탁약정에 따라 명의수탁자 명의로 등기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