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3.12.31. 선고 2013가합13750 판결
공탁금출급청구권확인공탁금출급청구권확인
사건

2013가합13750(본소) 공탁금출급청구권 확인

2013가합21157(반소) 공탁금출급청구권 확인

원고(반소피고)

의료법인 영문의료재단

피고(반소원고)

A종친회

변론종결

2013. 11. 14.

판결선고

2013. 12. 31.

주문

1. 원고(반소피고)의 본소청구 및 피고(반소원고)의 반소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 중 본소에 관한 부분은 원고(반소피고)가, 반소에 관한 부분은 피고(반소원고)가 각 부담한다.

청구취지

본소 : 한국도로공사가 2009. 4. 27. 이 법원 2009금제3329호로 공탁한 2,243,292,250원 중 747,764,083원에 대한 공탁금출급청구권이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에게 있음을 확인한다.

반소 : 한국도로공사가 2009. 4. 27. 이 법원 2009금제3329호로 공탁한 2,243,292,250원에 대한 공탁금출급청구권이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 한다)에게 있음을 확인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분할 전 토지에 관한 명의신탁 및 토지분할 경위

(1) 피고는 B씨의 시조인 C의 장자 D의 후손들을 구성원으로 하여 B씨 14세손 E의 묘소를 비롯한 선조에 대한 봉제사, 분묘의 수호 및 보존, 종원 상호간의 친목도모 등을 목적으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종중이다.

(2) 피고는 용인시 F 임야 22,141㎡(이하 'F 토지'라고 한다) 및 G 임야 867㎡(이하 'G 토지'라고 하고, 위 각 토지를 통틀어 '분할 전 토지'라고 한다)를 그 종원인 H(2001. 3. 5. 사망), I(1989. 4. 3. 사망), J에게 각 명의신탁하여, 1971.11. 26. 위 각 토지 중 각 3분의 1 지분에 관하여 H, I, J의 명의로 각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3) 그 후 F 토지는 2003. 6. 7. 용인시 F 임야 14,568㎡, K 임야 4,347㎡, L 임야 3,208㎡로 분할되었는데, ① 그 중 용인시 K 임야 4,347㎡는 2007. 9. 3. 용인시 기흥구 M 임야 4,448㎡로 등록 전환된 다음 용인시 기흥구 N 임야 236㎡, O 임야 46m² 및 P 임야 3,319㎡로 분할되었고, 2009. 5. 26. 용인시 기흥구 O 임야 46㎡에서 Q 임야 15㎡가, 용인시 기흥구 P 임야 3,319㎡에서 R 임야 2,864m²가 각 분할되었으며, ② 용인시 F 임야 14,568㎡는 2004. 7. 23. F 임야 9,197㎡와 S 임야 5,389㎡로 분할된 후, 위와 같이 분할된 용인시 F 임야 9,197㎡는 2005. 9. 1. F 임야 9,191m² 및 T 임야 6㎡로 다시 분할되었다.

(4) 그리고 G 토지는 2006. 8. 29. 용인시 기흥구 U 임야 1,025㎡로 등록사항정정 및 등록전환된 다음 U 임야 139㎡, V 임야 69㎡, W 임야 817m²로 분할되었고, 그 중용인시 기흥구 W 임야 817m²는 2008. 5. 29. X 임야 668m² 및 W 임야 149㎡로 다시 분할되었다.

나. 분할 전 토지에 관한 명의신탁 해지 및 원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경위

(1) 피고는 명의수탁자인 H, I, J 등을 상대로 이 법원 99가합13297호로 분할 전 토지에 관하여 명의신탁 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1999. 10. 19. 이 법원으로부터 승소판결을 선고받았고, 위 판결은 1999. 12. 8. 확정되었다.

(2) 피고가 위 확정판결에도 불구하고 그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지 않고 있던 중, 분할 전 토지가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많은 보상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자, 당시 피고의 대표자였던 Y 등은 피고의 종원들 중 B씨 25세손 Z, AA, AB의 후손들로만 구성된 새로운 단체를 결성하여 분할 전 토지의 소유권을 해당 단체에 귀속시키기로 모의한 후 2000. 8. 12. 피고의 임시총회를 개최하여 피고를 해산하고 Z, AA, AB의 후손들만으로 새로운 단체를 결성하여 분할 전 토지를 해당 단체에 귀속시키기로 하는 내용의 결의를 한 다음, 위 결의에 따라 Z, AA, AB의 후손들만으로 구성된 B씨 22세 AC 종친회(이하 'AC 종친회'라고 한다)를 결성하였다.

(3) 그 후 AC 종친회는 H, I, J을 상대로 이 법원 2000가합19611호로 분할 전 토지에 관하여 2000. 8. 12.자 약정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이하 '제1소송'이라 한다)을 제기하여 2001, 3. 16. 이 법원으로부터 의제자백에 의한 승소판결을 선고받았고, 위 판결은 2001. 4. 25. 확정되었으며, 위 확정판결에 기하여 2004. 6. 7. 분할 전 토지에 관하여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각 마쳐졌다.

(4) AC 종친회는 2004. 6. 23.경 AD에게 용인시 기흥구 N 임야 236m², V 임야 69㎡, Q 임야 15㎡, R 임야 2,864㎡, X 임야 668㎡(이하 통틀어 '이 사건 각 토지'라고 한다)를 매도한 후 이에 따라 2004. 7. 23.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하여 AD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각 마쳐주었고, AD은 2007. 10. 18.경 원고에게 이 사건 각 토지를 증여한 후 이에 따라 2007. 10. 24. 위 각 토지에 관하여 원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각 마쳐주었다.

다. 피고와 AC 종친회 사이의 관련 민사소송 경과

(1) 한편, 피고는 2004. 10. 8. 이 법원 2004가합14294호로 분할 전 토지의 명의수탁자인 J 및 H, I의 각 상속인들을 상대로 분할 전 토지에 관하여 명의신탁 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함과 아울러 위 명의수탁자들을 대위하여 AC 종친회 및 AD을 상대로 분할 전 토지의 일부인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하여 마쳐진 AC 종친회 및 AD 명의의 위 각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송(이하 '제2소송'이라 한다)을 제기하였다.

(2) 위 소송은 제1심 및 항소심 [서울고등법원 2005나63674(본소), 2006나36648(반소)]을 기쳐 상고심(대법원 2007다86037)에서 파기환송된 후, 환송심[서울고등법원 2008나71669(본소), 2008나71676(반소)]을 거쳐 최종적으로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9다30120 판결로써 확정되었는데, 위 소송 결과 법원은 "AC 종친회는 의제자백에 의한 승소판결이라는 형식을 빌려 분할 전 토지의 명의수탁자들에게 처분권한이 없음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위 명의수탁자들의 배신적 처분행위에 적극 가담하거나 유도하는 행위를 저지름으로써 분할 전 토지에 관하여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으므로, 위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행위인 2000. 8. 12.자 약정(임시총회 결의) 및 그에 기한 위 소유권이전등기 행위는 모두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무효이다."라는 취지로 판단하면서, "다만, AC 종친회가 위 명의수탁자들을 상대로 제기한 제1소송의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친다면, 명의수탁자 측을 대위하여 AC 종친회 및 AD를 상대로 분할 전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피고의 청구는 인용될 수 없는데, 제1소송의 확정판결 중 I에 대한 부분은 이 제1소송 제기 전인 1989. 4. 3. 이미 사망하여 당연무효이므로 기판력이 발생할 수 없고, 제1소송의 확정판결 중 H에 대한 부분은 이 제1소송 계속 중인 2001. 3. 5. 사망하여 소송이 중단되었으므로 H에 대한 판결정본의 송달은 효력이 없고 H의 상속인이 해당 소송절차를 수계하여 판결정본을 송달받기 전까지는 항소기간이 진행될 수 없어 기판력이 발생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각 토지 중 I, H 명의의 각 1/3 지분에 관한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및 이에 기초한 AD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모두 원인무효이다."라는 이유로 이 사건 각 토지 중 2/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를 인용하는 한편, "비록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행위 및 그 소유권이전등기가 무효이기는 하나, 제1소송의 확정판결 중 J에 대한 부분이 당연무효이거나 재심의 소에 의하여 그 판결이 취소되었다는 등의 자료가 없는 이상, 피고가 위 확정판결에 기하여 이 사건 각 토지 중 J 명의의 1/3 지분에 관하여 마쳐진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이에 기초한 AD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각 말소를 구하는 것은 위 확정판결의 기판결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이 사건 각 토지 중 1/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를 기각하였다.

라. 이 사건 각 토지의 수용 및 손실보상금 공탁 경위

그 후 이 사건 각 토지는 경부고속도로 확장공사(기흥구 3차) 관련 도로사업 부지에 편입되었고, 한국도로공사는 2009. 3. 26. 중앙토지수용위원회로부터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수용재결을 받은 후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0조 제2항 제2호에 의거하여 2009. 4. 27. 이 법원 2009금제3329호로 원고 또는 피고를 피공탁자로 하여 이 사건 각 토지의 수용에 따른 손실보상금 2,243,292,250원을 공탁(이하 '이 사건 공탁'이라 한다)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 을 제1 내지 7호증(각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본소청구에 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제2소송의 확정판결에 따라 이 사건 각 토지 중 1/3 지분에 관하여 AD의 소유권이 인정되었고, 원고는 AD으로부터 위 1/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을 이전받았으므로, 이 사건 각 토지의 수용에 따른 손실보상금 중 1/3 상당액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공탁금 중 747,764,083원(= 2,243,292,250원

X 1/3)에 관한 출급청구권이 원고에게 있다는 점에 관한 확인을 구한다.

나. 판단

(1)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로 주장된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판단의 결론에만 미치고 그 전제가 되는 법률관계의 존부에까지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계쟁 부동산에 관한 피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원인무효라는 이유로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그 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가 청구기각의 판결을 선고받아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로 주장된 말소등기청구권이나 이전등기청구권의 존부에만 미치는 것이지 그 기본이 된 소유권 자체의 존부에는 미치지 아니한다 (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11847 판결 등 참조).

(2) 위 법리에 기초하여 이 사건에 관하여 보건대, 피고가 2004. 10. 8. 분할 전 토지의 명의수탁자인 J 및 H, I의 각 상속인들을 대위하여 AC 종친회 및 AD을 상대로 분할 전 토지의 일부인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하여 마쳐진 AC 종친회 및 AD 명의의 위 각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제2소송을 제기한 사실, 그 결과 법원은, 이 사건 각 토지 중 I, H 명의의 각 1/3 지분에 관한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및 이에 기초한 AD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모두 원인무효라는 이유로 이 사건 각 토지 중 2/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를 인용하는 한편, "비록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행위 및 그 소유권이전등기가 무효이기는 하나, 제1소송의 확정판결 중 J에 대한 부분이 당연무효이거나 재심의 소에 의하여 그 판결이 취소되었다는 등의 자료가 없는 이상, 피고가 위 확정판결에 기하여 이 사건 각 토지 중 J 명의의 1/3 지분에 관하여 마쳐진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이에 기초한 AD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각 말소를 구하는 것은 위 확정판결의 기판결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이 사건 각 토지 중 1/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하여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으나,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제2소송에서 소송물로 주장된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권의 존부에만 미치는 것일 뿐, 그 기본이 된 소유권 자체의 존부에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제2소송 결과 이 사건 각 토지 중 J의 명의였던 1/3 지분에 관한 피고의 AC 종친회 및 AD에 대한 각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가 배척되었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위 1/3 지분에 관하여 AC 종친회 및 AD의 소유권이 당연히 인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기초사실 및 그 인정근거에 을 제8, 9호증의 각 기재를 더하여 보면, 이 사건 각 토지 중 J 명의의 1/3 지분에 관하여 마쳐진 AC 종친회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그 원인행위인 2008. 8. 12.자 약정이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원인무효라고 봄이 상당하므로, AC 종친회는 이 사건 각 토지 중 J 명의의 1/3 지분에 관한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하였다 할 것이고, 무권리자인 AC 종친회로부터 위 지분을 매수한 AD도 그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하였다 할 것이어서, 원고에게

이 사건 각 토지의 수용에 따른 손실보상금 중 1/3 상당액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원고의 주장은 나머지 점에 관하여 더 살필 필요 없이 이유 없다.

3. 피고의 반소청구에 관한 판단

가. 피고의 주장

피고는, 자신이 이 사건 각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이므로 위 각 토지의 수용에 따른 손실보상금 전액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원고를 상대로 이 사건 공탁금 2,243,292,250원에 관한 출급청구권이 피고에게 있다는 점에 관한 확인을 구한다.

나. 판단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피고가 이 사건 각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인지에 관하여 보건대, 피고가 그 종원인 H, I, J에게 이 사건 각 토지가 포함된 분할 전 토지를 명의신탁하여, 1971. 11. 26. 위 각 토지 중 각 3분의 1 지분에 관하여 H, I, J의 명의로 각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진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으나, 피고가 이 사건 각 토지의 사정 명의인이라거나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 또는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에 관한 주장, 입증이 없는 이상, 위 인정사실만으로는 피고가 이 사건 각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임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피고로서는 위 명의수탁자 또는 그 상속인들을 상대로 위 명의신탁을 해지한 다음 명의신탁의 목적물인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피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무가 이행불능이 되었음을 이유로 그에 따른 손해배상을 구하는 한편, 피고의 위 명의수탁자 또는 그 상속인들에 대한 손해배상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그들을 대위해서 위 공탁금출급청구권을 행사하거나 그들로부터 위 공탁금출급청구권을 양수하여 이를 행사하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 피고가 이 사건 각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임을 전제로 다른 피공탁자인 원고를 상대로 위 각 토지의 수용에 따른 손실보상금에 관한 공탁금출급청구권이 피고에게 있다는 점의 확인을 구할 수는 없다.

4.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본소청구 및 피고의 반소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각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재판장 판사 이동훈

판사 이광현

판사 이정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