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7.06.09 2016노7781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연락처를 주지 않고 보상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 도주하였고, 피해자도 피고인이 현장을 이탈하려는 것을 막으려고 한 점, 피해자가 피고인 차량 번호를 확보하였으나 피고인이 운전한 차량의 명의자와 피고인이 동일인 임을 확신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던 점 등을 비추어 보면, 피고인이 이 사건 사고 이후 도로 교통법 제 54조 제 1 항 소정의 필요한 조치를 다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 오인의 위법이 있다.

2. 판단

가. 관련 법리 도로 교통법 제 148 조, 제 54조 제 1 항은 차의 운전 등 교통으로 인하여 물건을 손괴한 경우에는 운전자 등으로 하여금 교통사고로 인한 장애물을 제거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하게 함으로써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방지 ㆍ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피해자의 물적 피해를 회복시켜 주기 위한 규정은 아니며, 이 경우 운전자가 현장에서 취하여야 할 조치는 사고의 내용, 피해의 태양과 정도 등 사고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강구되어야 하고, 그 정도는 건전한 양식에 비추어 통상 요구되는 정도의 조치를 말한다( 대법원 2013. 8. 23. 선고 2013도4936 판결).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이 사건 사고의 경위 및 내용, 피해차량의 손괴 부분 및 정도, 이 사건 사고 이후의 정황 특히 사고 현장에 비 산물이 있었다고

볼 자료가 없고, 사고 직후 피해차량 및 피고인 차량이 모두 넓은 도로변으로 이동하였으며, 당시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자신의 과실을 인정하면서 피해자의 몸 상태를 확인하였고, 피해자는 피고인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해 둔 데 다가 피고인에 대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