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이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부당해고등에 대한 구제신청에 따른 구제명령을 얻는다고 하더라도 객관적으로 보아 그 실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앙노동위원회 재심판정의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
(대법원 1995. 12. 5. 선고 95누12347 판결 등 참조). 또한 근로자가 부당해고등에 대한 구제절차의 진행 중 별도로 사용자를 상대로 부당해고등 불이익처분의 무효확인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청구기각 판결을 선고받아 확정되었다면, 부당해고등이 아니라는 점이 이미 확정되어 더 이상 부당해고등에 대한 구제절차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므로, 중앙노동위원회 재심판정의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
(대법원 1996. 4. 23. 선고 95누6151 판결,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0두15964 판결 등 참조). 2. 기록에 의하면, ① 원고는 피고 보조참가인으로부터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하였다가 각하결정을 받자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한 사실, ② 중앙노동위원회가 재심신청을 기각하자, 원고는 그 재심판정의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사실, ③ 피고 보조참가인은 위 정직 3개월의 징계 이후에 원고를 해고한 사실, ④ 원고는 피고 보조참가인을 상대로 위 정직 3개월의 징계처분 및 해고 등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가 2017. 11. 23. 청구기각 판결을 선고받은 사실(서울서부지방법원 2016가합36973)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사건 상고심 계속 중 위 청구기각 판결은, 그에 대한 원고의 항소(서울고등법원 2018나2000402)가 2018. 8. 31. 기각되고, 상고(2018다272704)도 2019. 1. 17. 심리불속행 기각되어 그 판결정본이 2019. 1. 18. 송달됨으로써 확정된 사실은 이 법원에 현저하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