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08.11 2016가단5166105
부당이득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고의 주장과 판단 원고는, 원고가 1988. 4. 21. 피고에게 6,250만 원을 빌려 주었으므로, 그 중 5,000만 원의 지급을 구한다고 주장한다.

피고는 1988년경 원고로부터 600만 원 정도를 빌린 사실을 자인한다.

위 자인하는 금액 이외에 갑 제1, 2호증의 각 기재, 증인 C의 증언만으로는 원고 주장의 돈을 피고에게 빌려 주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고는 원고에게 대여금 6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2. 피고의 주장과 판단 피고는 위 대여금 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앞서 본 바와 같거나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가 1988. 4. 21. 피고에게 600만 원을 빌려 주면서 따로 변제기를 정하지 아니한 것으로 인정되므로, 원고의 피고에 대한 위 대여금 채권은 이행기의 정함이 없는 채권으로서 그 성립과 동시에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위 대여금 채권의 소멸시효는 위 대여일 다음 날인 1988. 4. 22.부터 진행된다고 할 것인데, 이 사건 소는 그로부터 10년이 경과한 2016. 7. 19.에서야 제기되었음이 기록상 명백하므로, 위 대여금 채권은 시효로 소멸하였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피고가 시효 완성 후인 2013년경과 2016년경 원고에게 위 대여금을 변제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시효이익을 포기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증인 C의 증언만으로는 위 주장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결국 원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고, 피고의 소멸시효 항변은 이유 있다.

3. 결 론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