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고등법원 (전주) 2017.09.26 2017노86
공직선거법위반
주문

피고 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1)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가) 채 증 법칙 위반의 점 원심이 증거로 채택한 검사 증거 목록 순번 3 ‘ 녹취 록( 고발 인 작성)’( 증거기록 20 면), 순 번 21 ‘ 녹취 록 자료’( 증거기록 103 면), 순 번 25 ‘ 녹취 록( 피의자 A-E 체육회 회원 간 대화내용)’( 증거기록 126 면), 순 번 46 ‘ 녹취 록 (A, M 등)’( 증거기록 제 378 면), 순 번 57 ‘ 고발 인 제출 녹음 파일 CD'( 증거기록 481 면), 순 번 58 ’O 휴대전화 녹음 파일 CD‘( 증거기록 482 면), 순 번 63 ’USB 1개( 고발인 AA 제출)’( 전주지방 검찰청 2016 년 압제 465호의 증제 2호)( 이하 ‘ 이 사건 녹취록 등’ 이라 한다) 는 녹음 자 가 특정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증거능력이 없고, 만약 녹음 자가 대화 당사자가 아닐 경우 위법수집 증거에 해당하며, 설령 녹음 자가 대화자 중 1 인이라고 하더라도 이 사건 녹취록 등은 인위적으로 개작된 것이므로 증거능력이 없음에도, 이 사건 녹취록 등에 의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채 증 법칙을 위반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나) 매 수 및 이해 유도로 인한 공직 선거법위반의 점 피고인이 E 체육회의 직원 및 소속단체 임원에게 공소사실 기재와 같은 발언을 하였더라도, 위 발언은 의례적 사교적인 인사치레에 불과할 뿐 금품이나 재산상 이익제공의 의사표시가 아님에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다) 부정선거운동으로 인한 공직 선거법위반의 점 지방의회의원은 공직 선거법 제 60조 제 1 항 제 4호 단서에 의하여 선거운동이 허용되므로 공직 선거법 제 85조 제 2 항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해석하여야 하고, 설령 그렇지 않더라도 피고인은 공무원의 지위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