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5.06.05 2015노570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차량)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피고인은 미필적으로나마 피해자가 피고인의 과실로 발생한 교통사고로 상해를 입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고, 피고인에게 도주의 범의도 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원심은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인하여 피고인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차량)죄의 공소사실을 무죄(이유 무죄)로 판단하였다.

2. 판단

가.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이 2013. 10. 19. 12:06경 D 렉서스 승용차를 운전하여 주택가 이면도로를 진행하던 중 피고인 승용차 좌측 사이드미러 부분으로 피해자 G의 오른쪽 흉부 부위를 충격 이하 ‘이 사건 교통사고’라고 한다.

하여 피해자에게 약 4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우측 흉곽부 타박’ 등의 상해를 입게 하고도 구호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도주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이 공소사실 기재 일시, 장소에서 위 승용차를 운전하여 진행하다가 좌측 사이드미러 부분으로 G의 ‘오른쪽 흉부’ 부위를 충격한 사실은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판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종합하면, 피고인 입장에서는 G를 충격하였는지, G가 상해를 입어 구호 등 조치를 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인식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고인이 이 사건 교통사고로 인하여 G이 상해를 입었음을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호조치 등을 취하지 않고 사고현장을 이탈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

① 이 사건 교통사고 발생 직전에 오토바이 한 대가 피고인 운전의 승용차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승용차의 운전석 옆으로 지나갔다.

그래서 피고인으로서는 G가 전방 좌측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