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04.25 2012가단188614
손해배상(기)
주문

1. 피고는 원고에게 10,000,000원을 지급하라.

2.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제1항은...

이유

1. 원고 주장의 요지

가. 원고는 2008. 7. 4. 피고에게 1억 원을 대여하고 그 담보로 피고 소유의 서울 관악구 C아파트 1동 803호에 채권최고액 1억 5천만 원의 근저당권(이하 이 사건 근저당권이라고 한다)을 설정하였다.

나. 원고는 이 사건 근저당권에 기하여 위 아파트에 관한 임의경매신청을 하였으나, 피고는 원고를 상대로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의 소를 제기하면서 강제집행정지 신청을 하여 담보로 1천만 원을 제공하고 강제집행정지결정을 받았다.

다. 그러나 피고가 제기한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의 소의 제1심 법원은 피고의 청구를 기각하였고, 그 항소 및 상고가 모두 기각됨에 따라 위 제1심 판결이 그대로 확정되었다. 라.

이처럼 피고의 부당한 소제기로 인하여 임의경매가 지연됨에 따라 발생한 손해액 3,800만 원(= 원금 1억 원 × 이자 월 2% × 지연기간인 2010. 8. 31.부터 2012. 4. 6.까지 19개월) 중 일부인 1천만 원을 우선 청구한다.

2. 청구원인에 대한 판단 결국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약정이율에 따른 지연손해금 청구라고 봄이 상당한바 이에 관하여 살펴본다.

가. 인정사실 - 원고는 2008. 7. 4. 피고에게 1억 원을 이자 월 2.5%로 정하여 대여하면서 이를 담보하기 위하여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친 사실 - 그 후 원고는 이 사건 근저당권에 기한 임의경매절차에서 위 대여금 원금 1억 원 및 이자 131,250,000원(위 약정이율에 따른 52.5개월분의 이자-배당일인 2013. 2. 20.을 기준으로 역산하면 2008. 10. 6. 무렵부터의 이자-를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합계 231,250,000원의 채권을 신고하였으나, 그 중 143,320,377원만을 배당받은 사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3 내지 10, 1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나. 판단 위 인정사실 및 원고가 위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