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7.09.01 2016구합86005
법인세부과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법인세법상 특수관계인인 주식회사 B(이하 ‘B’이라 한다)에 아래 [표 1] 기재와 같이 금원을 대여하였다

(이하 ‘이 사건 대여금’이라 한다). [표 1] (단위: 백만 원) 순번 사업연도 대여금액(누적) 회수금액 대여금 잔액 이자율 1 2007 17,373 17,373 0 무이자 2 2008 30,535 10,098 20,437 〃 3 2009 41,019(61,456) 24,952 36,504 〃 4 2010 33,188(69,692) 28,900 40,792 〃 5 2011 20,414(61,206) 14,340 46,866 〃 6 2012 8,505(55,371) 499 54,872 연 6.9% 7 2013 4,440(59,312) 0 59,312 연 2.7% 8 2014 4,594(63,906) 0 63,906 〃 합계 160,068 96,162

나. 서울지방국세청은 2012. 8. 30.부터 2012. 10. 28.까지 원고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피고에게 통보하였다.

위 세무조사 결과를 통보받은 피고는 ‘원고가 2007 내지 2011 사업연도에 B에 무이자로 대여한 금원은 업무무관 가지급금에 해당하므로, 원고가 위 각 사업연도에 금융기관 등에 지급한 이자에 차입금 적수 중 이 사건 대여금 잔액 적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원은 손금불산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부당행위계산 부인규정에 따라 원고가 2007 내지 2011 사업연도에 B로부터 수취하였어야 할 인정이자를 익급산입하여야 한다’고 보아 2013. 1. 2.과 같은 해

3. 4. 원고에게 2007 내지 2011 사업연도 귀속 법인세(각 가산세 포함)를 각 경정ㆍ고지하였다.

원고는 서울행정법원 2014구합64698호로 위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위 법원은 2015. 6. 5.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원고는 서울고등법원 2015누48589호로 항소하였으나 위 법원은 2015. 11. 12.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였고, 원고가 대법원 2015두59587호로 상고하였으나 대법원도 2016. 4. 15.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였으며, 위 판결은 같은 날 확정되었다.

다. 또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