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청주지방법원 2017.11.17 2015나12179
사해행위취소
주문

1.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 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① C는 2007. 8. 30.부터 2011. 9. 17.까지 주식회사 A(이하 ‘A’이라 한다)의 이사 및 감사위원으로 재직하였다.

② A의 대표이사였던 E 등은 2002. 4. 29.부터 2011. 6. 29.까지 종합터미널고양(주)에 대하여 12명의 명의를 이용하여 총 23건, 합계 775억 원의 대출을 취급하였다

(대출금 중 760억 원 상당이 회수되지 아니하였다). 위 대출은 상호저축은행법 제12조 등에 따른 개별차주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초과 금지 규정을 위반하거나, 상호저축은행 표준대출규정 제3조, 제8조에 반하여 대출 취급 당시 채무상환능력이 불확실한 차주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신용조사 및 사업 타당성 검토를 소홀히 하거나, 충분한 인적, 물적 담보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E 등은 상호저축은행법 제12조 등에 따른 개별차주 신용공여 한도를 초과하여 대출하였다는 범죄사실로 2012. 10. 12. 상호저축은행법위반 등으로 유죄판결을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고합412, 서울고등법원 2012노3666, 대법원 2013도6826). 위 유죄인정 부분은 항소와 상고를 거쳐 확정되었다.

③ C는 위 ②항의 대출 중 2008. 12. 26.부터 2009. 12. 9.까지 187억 원의 대출(이하 ‘이 사건 대출’이라 한다)에 관하여 A의 감사위원으로 근무하였다.

④ C는 A의 위법부당대출에 대한 조사가 시작될 무렵인 2011. 4. 12. 그의 배우자인 피고와 사이에 C 소유의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증여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날 피고에게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접수 제8403호로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다.

당시 C는 이 사건 토지 외에 3억 8,000만 원 상당의 서울 송파구 F 소재 아파트의 1/2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다.

⑤ A은 2011. 9. 18. 금융위원회로부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