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6.10.07 2016노1679
위증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피고인은 2012.경 D에 찾아온 E을 만난 사실이 있으므로,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허위의 진술을 한 사실이 없음에도,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므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사실오인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용인시 처인구 C 등 4개 필지에서 'D'을 운영하는 사람이다.

피고인은 2014. 10. 30.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21호 법정에서 2013가단42309호 원고 E, 피고 F 외 3명 사이의 위 C 등 토지에 대한 공유물분할 청구소송의 증인으로 출석하여 선서하였다.

피고인은 2012년경 D에 찾아 온 사람들 중 원고 E을 보거나 만난 사실이 없었음에도, 피고 대리인이 2012년경 D에 방문했던 사람들이 누구인지를 묻는 과정에서 "(이 때 법정에 재정한 원고를 가리키며) 그 중 1명이 원고가 맞는가요"라고 질문하자 "(원고를 바라보며) 예, 맞는 것 같습니다. 당시 중절모를 쓰고 목발을 짚고 찾아왔었습니다"라고 증언하여 기억에 반하는 허위의 진술을 하여 위증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E의 진술이 신빙성이 있음을 전제로 원심 판시 증거들에 의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다. 당심의 판단 (1) 인정사실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인정할 수 있다.

(가) 용인시 처인구 C 외 3필지 토지 중 1/4 지분(이하 ‘이 사건 지분’이라고 한다)에 관하여 G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져 있었다.

E은 이 사건 지분을 처분하여 그 이익금의 50%를 얻기로 G과 합의하고, G과 차용금증서, 부동산매매계약서, 인증서, 증여계약서 등을 작성하였다.

이후 E은 2013. 2. 13. 이 사건 지분에 관하여 증여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