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5.12 2015노5028
절도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피고인의 항소 이유 요지 피고인은 D의 오토바이를 절취한 사실이 없다.

피고인은 D에게 시계를 확보해 주기로 하였고 그 시계대금 조로 D로부터 이 사건 오토바이를 교부 받은 것이다.

원심은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이 사건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직접적인 증거로는 D의 수사기관 및 원심 법정에서의 진술이 있다.

살피건대 원심 및 당 심이 적법하게 채택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의 사정들을 종합할 때, 피고인이 이 사건 오토바이를 절취하였다는 D의 진술이 충분히 신뢰할 만하다고

보기 어렵고,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 만으로는 이 사건 공소사실이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 점을 지적하는 피고인의 주장은 이유 있다.

① D는 자신이 이 사건 오토바이를 인근에 세워 놓고 발레 파킹을 하는 사이에 피고인이 위 오토바이를 훔쳐 타고 가는 모습을 뒤에서 보았을 뿐 아니라 다른 직원들이 그 순간을 목격하였다고

진술하고 있다.

그러나 소유주와 목격자들이 인근에서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타인의 오토바이를 훔쳐 타고 간다는 것은 절취의 방법으로서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② 절취상황에 대한 D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다.

2009. 11. 5. 최초 신고 당시 D는 범행 시각이 오후 8:00 경이라고 진술하였다가 2010. 1. 7. 경찰조사 과정에서는 범행 시각이 오후 3시에서 4시 사이라고 진술하였다.

또 한 2010. 1. 7. 경찰조사 과정에서는 자신이 위 오토바이를 인근에 세워 놓고 발레 파킹을 하고 있는 사이에 피고인이 위 오토바이를 훔쳐 타고 가는 모습을 확인하였으며 그 즉시 피고인으로부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