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영문) 대법원 1992. 6. 23. 선고 92다4130, 92다4147 판결

[임차보증금반환등][공1992.8.15.(926),2252]

Main Issues

(a) the meaning and requirements of the contract termination or rescission contract;

B. Agreement cancellation of the lease contract without any agreement on the return of the lease deposit and empirical rule

Summary of Judgment

A. “Contract rescission or rescission contract” means a new contract,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 right of rescission, which provides that both parties to the contract shall terminate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contract by agreement and return to the same state as that of the previous contract had not been concluded from the original date. In order to cancel the contract, a conflict between the offer and acceptance of the contract shall be agreed upon (agreement) as the case where the contract is generally concluded in order to cancel the agreement. In order to establish such an agreement, the content of the intent expressed by both parties should objectively coincide.

B. Although it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to conclude an agreement on restitution at the time of termination of the contract, the cancellation of the lease agreement without any agreement on the return of the lease deposit already paid in the event of termination of the lease agreement is an example in light of our empirical rule.

[Reference Provisions]

a.B.Article 543 of the Civil Code; Article 548 of the Civil Code; Article 1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Reference Cases

A. Supreme Court Decision 4293Hun-Ba275 delivered on October 6, 1960 (No. 8 citizen157). Supreme Court Decision 4280Hun-Ga383 Delivered on May 17, 1948 (No. 1) decided 4288Hun-Ga300 Delivered on October 20, 1955 (No. 428Hun-Ga300 Delivered on April 26, 1956)

Plaintiff (Counterclaim Defendant), Appellee

[Defendant-Appellee] Defendant 1 et al., Counsel for defendant-appellee

Defendant (Counterclaim Plaintiff)-Appellant

Defendant Lessee (Attorney Kim In-hwan, Counsel for defendant-appellant)

Judgment of the lower court

Suwon District Court Decision 90Na5112, 5129 (Counterclaim) decided December 10, 1991

Text

Of the judgment below, the part against the Defendant (Counterclaim Plaintiff) shall be reversed.

The case concerning this part shall be remanded to the Suwon District Court Panel Division.

Reasons

The Defendant-Counterclaim Plaintiff’s ground of appeal is examined.

1. Summary of the reasoning of the judgment below

원심은, 원고(반소피고, 이 뒤에는 원고라고 약칭한다)는 변압기 자동차부품 및 쇼케이스 등을 제작하는 회사로서, 회사가 생산하는 자동차부품 중 일부의 제작을 원고 회사 공장장인 소외 1에게 하청주기로 하고, 그 하청공장건물을 마련하기 위하여 회사의 생산주임인 소외 2를 통하여 1988.12.초순경부터 피고(반소원고, 이 뒤에는 피고라고 약칭한다)에게, 피고가 그 당시 정미소 건물로 사용하고 있던 이 사건 건물을 원고 회사에 임대하여 줄 것을 권유하여 피고로부터 조건이 맞으면 임대하겠다는 대답을 듣고, 현장답사하는 등으로 이 사건 건물이 자동차부품제조공장 용도로 적합한지를 상당기간 조사한 다음, 1989.1.4. 이 사건 건물 및 그 부지(뒷공터 포함, 이 뒤에는 이 사건 부동산이라고 약칭한다)에 관하여 피고와 사이에 임차보증금은 금 10,000,000원, 임대차기간은 1989.2.15.부터 36개월간, 차임은 월 금 600,000(1990.2.15.부터는 금700,000원)으로 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그날 임차보증금중 금 5,000,000원을 지급한 사실, 그 후 피고는 이 사건 부동산을 원고에게 인도하기로 약정한 1989.2.15. 이전에 위 정미소의 가동을 중단하고 건물 내에 설치된 정미기 등도 모두 철거하고 정미소업허가권까지 처분한 후 1989.2.15. 원고에게 이를 통보하였던 바, 원고는 당초 이 사건 부동산위에 공장을 운영하기로 하였던 위 소외 1이 위 임차보증금 등 운영경비를 전혀 부담하지 않겠다고 하고 그를 대신하여 공장을 운영할 사람도 구할 수가 없어 이 사건 부동산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면서 원·피고간의 위 임대차계약을 종료하자고 제의하였으나, 피고가 이를 거절하자 같은 날 위 임차보증금 중 잔금 5,000,000원을 피고에게 지급한 사실, 한편 이 사건 부동산은 일반주거지역내에 위치하는 관계로 공업배치법과 건축법 등의 관계규정에 의하여 공장설치의 허가를 받을 수 없는데도, 원고는 위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이후에도 이와 같은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이 사건 부동산을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다가 1989.3.2.에 이르러 이를 알게 되어, 3.10.경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이 행정구역상 공장이 가동될 수 없는 일반주거지역내에 있다는 이유로 “본 계약을 파기하며 임차보증금 1,000만원을 3월20일까지 반환하여 주시기 바라며”라는 내용의 해약통고서(갑 제3호증)를 보내자, 3.15(3.12.의 오기로 보인다) 이 통고서를 받은 피고는 3.17. 원고의 내부사정으로 이 사건 부동산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해약통고서를 보낸 것은 신의성실에 위배된다며 “부득이 임대차계약을 할 수 없다고 하시면 계약서 제7조에 의해 계약금은 무효로처리하고 잔액 금 5,000,000원은 지급해 줄 의사가 있읍니다. 그러나 또 다시 이런식으로 귀하께서 행동하신다면 잔액 금 5,000,000원에 대해서도 최고인의 손해배상청구채권으로 대항하겠다는 의사를 명백히 밝혀 둡니다”라는 내용의 답변서(갑 제7호증의 1)를 원고에게 보냈고, 그 후 원고가 5.30.경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부동산상에 공장설치허가가 불가능하고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그에 기한 경매절차가 진행됨으로써 정상적인 공장운영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를 내세워 “당사는 다시 한번 임대차계약의 해제를 통고하고 당사가 지불한 임차보증금 1,000만원의 반환을 요구하는 바입니다” 라는내용의 통고서(갑 제5호증)를 보내자, 이에 대하여 피고는 6.5. 피고가 원고를 속인 일이 없고 이 사건 부동산에 근저당권이 설정된 것은 임대차계약에 장애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이건 계약은 이내 해제된 것이며 단 계약불이행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생각합니다. 귀사에서 언제든지 임차보증금 5,000,000원을 요구하시면 비록 이 건으로 본인이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반환해 줄 생각입니다. 그러나 귀사에서 본인에게 정중히 사과를 하면서 위 금액을 요구시 응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으며 이와 같은 행위를 계속해 온다면 본인의 손해청구금으로 대항하겠다는 것을 다짐해 둡니다.” 라는 내용의 답변서(갑 제4호증)를 원고에게 보내어 같은 날 원고에게 도달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이와 같이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해제하고 임차보증금 10,000,000원 전액을 반환하라는 내용이 담긴 원고의 피고에 대한 위 1989.5.30.자 통고서에 대하여, 피고 또한 원고가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해제하자는 뜻을 명백히 한 이상 위 계약의 해제에는 동의하되 그와는 별도로 원고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위와 같이 계약이 종료됨으로써 피고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금 5,000,000원을 위 임차보증금에서 공제하고 나머지 금 5,000,000원만 원고에게 반환하겠다는 취지의 위 1989.6.5.자 답변서가 원고에게 같은 날 도달됨으로써, 결국 원 피고간에는 계약종료로 피고가 입은 손해배상문제와는 별도로 계약해제에 관한 한 의사합치가 이루어졌다고 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어 피고의 다음과 같은 주장들, 즉 원고가 1989.3.경 피고에게 임대차계약의 해제 및 임차보증금 10,000,000원 전액의 반환을 요구한 것은 화해계약의 청약에 해당하고, 이에 대하여 피고가 임차보증금 중 금 5,000,000원만을 반환할 용의가 있다고 답변한 것은 원고의 위 청약을 거절하고 피고가 임차보증금 중 금 5,000,000원만 원고에게 반환하는 것으로 위 임대차계약을 종결짓자는 새로운 청약을 한 것이며, 이에 대하여 원고는 1989.5.30. 다시 금 10,000,000원의 반환을 요구함으로써 피고로부터의 위 새로운 청약을 거절하면서 종전과 같은 내용의 청약을 피고에게 한 것이고, 이에 대하여 피고가 1989.6.5. 원고가 위 1989.5.30.자 통고서로써 한 화해계약의 청약에 대하여 이를 거절하고 종전과 같은 내용의 청약을 또 다시 하게 된 것인데, 이에 대하여 원고가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다가 1989.7.19. 종전의 주장을 그대로 유지한 이 사건 소를 제기함으로써 피고의 위 청약을 거절한 것이니, 원 피고간에는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종료에 관한 의사의 합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는 주장과, 피고의 위 1989.6.5.자 답변은 원고에게 위 답변서가 도달된 다음부터 상당한 기간내에 원고가 피고에게 정중한 사과를 하고 아울러 적정한 손해배상을 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 것인데, 피고의 위 답변은 그 조건의 불성취로 효력을 잃게 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피고의 위 1989.6.5.자 답변서를 원고의 5.30.자 청약의 거절 및 새로운 청약으로 볼 수는 없고, 피고가 손해배상문제는 유보한 채 위 임대차계약의 종료에 동의한 이상 피고로서는 유보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원 피고간에 이미 이루어진 합의해제의 효력까지 부인할 수는 없으며, 또 피고의 위 1989.6.5.자 답변이 피고의 주장과 같이 원고의 사과 등을 정지조건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피고의 위 주장들을 배척한 끝에, 피고에 대하여 위 임대차계약의 해제에 따른 원상회복으로서 위 임차보증금 10,00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하는 범위내에서 원고의 본소 청구를 인용하고, 원고에 대하여 위 임대차계약에서 약정된 차임으로 1989.3.15.부터(1989.2.15. 부터 3.14.까지의 면제한 사실은 피고가 자인하고 있음) 원·피고간의 합의해제에 의하여 위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1989.6.5.까지 2개월 22일간 매월금 600,000원의 비율에 의한 금 1,633,972원(600,000원 × 2 + 600,000원 × 12 ×22/365)의 지급을 구하는 범위내에서 피고의 반소청구를 인용하였다.

2. The term "a contract to cancel or cancel an agreement" is a new contract, regardless of whether the parties to the contract have the right to cancel the existing contract, which stipulates that both parties shall terminate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contract by agreement and return it to the same state as that of the previous contract had not been concluded (see, e.g., Supreme Court Decision 4293No. 275, Oct. 6, 1960). In order to cancel the agreement, as in cases where the contract is generally established, there is a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o the contract and the offer of the contract and the acceptance of the agreement (see, e.g., Supreme Court Decision 200Hun-Ga385, Apr. 26, 1956).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agreement, the contents of the intentions expressed by both parties to the contract must be objectively identical to those expressed in the expression of the parties to the contract at the time of cancelling the agreement (see, e.g., Supreme Court Decision 2008Hun-Ga384, Apr. 28, 1985).

Examining the purport of the relevant evidence adopted by the court below in light of the records, (i) the notice of cancellation (Evidence No. 3) sent by the plaintiff to the defendant around 10, 100,000 won cannot be achieved due to any cause not attributable to the plaintiff, and (ii) the cancellation of the lease contract and the return of KRW 10,00,00 which was already paid as th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The purport of the notice (Evidence No. 5) sent by the plaintiff to the defendant around May 30 is that the return of the above lease deposit was again demanded by the defendant due to the reasons attributable to the defendant, and the plaintiff's return of the above lease deposit is 0,000 won. The plaintiff's claim for cancellation of the lease contract cannot be viewed as 00,000 won which was delivered to the defendant under the above 00,000 won's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or the warranty liability for the object of the lease. However, the plaintiff's claim for cancellation of the above lease contract cannot be viewed as 1050,0, as the plaintiff's reply to the remaining damages.

Nevertheless, the court below held that the plaintiff made an offer for the rescission contract of the above lease contract by the notification of cancellation as of March 10, 1989 or the notification as of May 30, 198, and that the defendant accepted the plaintiff's offer of the rescission contract through a written response as of March 17, 1989 or June 5, 1989, and that the original defendant reached an agreement with the intent to cancel the contract separately from the damages suffered by the defendant due to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Thus,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is not erroneous in the misapprehension of legal principles as to the subscription and acceptance of the rescission contract, or in the interpretation of legal act, and it is clear that such illegality affected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3. Therefore, the part of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against the defendant shall be reversed, and the case shall be remanded to the court below for a new trial and determination. It is so decided as per Disposition with the assent of all Justices who reviewed the appeal.

Justices Yoon Jae-ho (Presiding Justice)

심급 사건
-수원지방법원 1991.12.10.선고 90나5112
본문참조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