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8.25 2015가단5382214
구상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당사자의 지위 (1) 원고는 한국해운조합법에 따라 조합원인 해운업자의 사업수행 중 발생하는 재해에 대비한 공제사업을 실시하는 법인으로, 2014. 4. 1. A과, A 소유의 B(43톤, 예인선, 전남 완도군선적, 이하 ‘이 사건 선박’이라 한다)에 관하여 선원공제계약을 체결하였다.

(2) 피고는 2014. 8. 2. A과, 피보험자 A, 보장자동차 A 소유의 기중기(차량번호 C)로 하는 건설기계 자동차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

나. 사고 발생 A이 대표인 D의 직원으로서, 각 D 소속의 이 사건 선박과 바지선의 선장인 E은 2015. 1. 10. 13:00경 전남 진도군 F 방파제공사를 위해 이 사건 선박과 위 바지선을 투입한 후 당시 바지선에서 G 선두 H과 크레인기사 I과 함께 크레인을 이용하여 테트라포트 이적 작업을 하였다.

당시 E이 와이어 호이스트를 크레인 후크에 걸어주고, I이 크레인으로 테트라포트를 지상 1m가량 들어 올리던 중 붐와이어가 끊어져 E이 이를 피하는 과정에서 바지선 내 쌓여있던 약 3m 깊이의 테트라포트 사이로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이하, ‘이 사건 사고’라 한다). 다.

보험금 지급 원고는 2015. 4. 15.경 위 선원공제계약에 따라 E의 유족들에게 공제금 81,934,000원을 지급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9호증, 을 제2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E의 유족들은 이 사건 사고로 대하여 피고의 피보험자인 A에게 손해배상청구권을 취득하였고 A의 책임보험자인 피고에게 이를 직접 청구할 수 있다.

한편, 원고는 E의 유족들에게 공제금을 지급하면서 유족들로부터 유족들의 A에 대한 일체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양도받고, 채무자에게 채권양도의 통지를 할 권한도 위임받았다.

이에 따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