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07.14 2016가단5233982
외상대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피고의 본안전항변에 관한 판단 피고는,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주점 외상대금의 지급을 구하는 이 사건 소에 대하여, 원고가 위 주점의 피고용자에 불과하다는 사유 등을 주장하며, 이 사건 소는 외상대금의 청구주체가 아닌 원고가 제기한 부적법한 소라고 항변한다.

그러나 이행의 소에 있어서 원고 적격은 이행청구권자라고 주장하여 이행의 소를 제기한 자에게 형식적으로 인정되는 것이므로, 피고의 위 항변은 이유 없다.

2. 원고의 주장 및 판단

가. 원고의 주장요지 원고는 서울 강남구 C 소재 “D”라는 주점의 영업사장인데, 피고가 2013. 1. 3.부터 2016. 1. 20.까지 위 주점에서 총 61회에 걸쳐 주류 등을 외상으로 제공받아 합계 39,970,000원의 외상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하였고, 원고가 위 주점의 사업주인 E으로부터 위 외상대금 채권을 양수하였다는 취지로 주장하며, 피고에게 39,97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한다.

나. 판단 살피건대, 갑 제1 내지 7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만으로는 피고가 위 주점에서 합계 39,970,000원 상당의 주류 등을 외상으로 마시고 그 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없다

[가사, 원고가 주장하는 위 외상대금 채권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피고가 시효소멸의 주장을 하므로 살피건대, 위 외상대금 채권은 민법 제164조 제1호에 정한 ‘음식료’ 채권으로서 1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할 것인바, 원고가 주장하는 외상대금 채권 중 2015. 11. 2.자, 2016. 1. 20.자 외상대금 합계 7,750,000원을 제외한 나머지 2013. 1. 3.부터 2014. 10. 21.까지의 외상대금 합계 32,220,000원(=39,970,000원 - 7,750,000원 은 이 사건 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