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청주지방법원 2019.06.27 2018노1379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주문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D(이하 ‘이 사건 재단’이라 한다)이 2014. 10. 8. 소속 근로자들과 ‘연 1회 근무복 및 근무화의 의무지급’을 내용으로 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하였고 위 단체협약의 효력이 유지된 2016. 11. 11.경까지 근무복 등을 한 번도 지급하지 아니한 이상 위 단체협약의 복리후생비에 해당하는 사항을 위반한 것이고, 피고인들은 2016. 10.경 이 사건 재단의 이사장 내지 산하 요양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위 단체협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근무복 등이 지급되지 아니한 사정을 알고 있었음에도 2016. 11. 11.경까지 이를 지급하지 않았으므로 이미 위 단체협약 위반으로 인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위반죄가 성립되고, 이후 2017. 9.경에 이르러 2016년도 근무복 등을 지급했다는 사정은 범죄 후의 정황에 불과한바,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단체협약의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및 원심의 판단

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 A은 청주시 청원구 C 소재 이 사건 재단의 이사장, 피고인 B는 위 재단 산하 E요양원의 원장인바, 이 사건 재단은 2014. 10. 8.경 위 사업장에서 근로자들에게 ‘년 1회 근무복 및 근무화를 지급한다’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하였고, 이에 따라 2016. 11. 30.경까지 근로자들에게 연 1회 근무복 및 근무화를 지급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피고인들은 2016. 11. 11.경까지 위 사업장에서 근로자들에게 근무복 및 근무화를 지급하지 아니함으로써 단체협약 사항 중 복리후생비에 해당하는 사항을 위반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인들이 이 사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