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전주지방법원 2018.05.29 2016가단33778
건물소유권이전등기절차이행
주문

1. 피고는 원고에게 별지 목록 기재 건물에 관하여 1996. 2. 29. 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이유

1. 인정사실

가. 전주시 덕진구 B 전 2038평의 소유권자 변동 및 분할 관계 1) 전주시 덕진구 C(이하 ‘C’라고만 한다

) B 전 2038평에 관한 토지대장 상 소유자는 D에서 E를 거쳐 1970. 1. 11. F로 변동되었다. 2) G과 원고는 F로부터 공동 매수한 위 토지를 1976. 2. 27. B 전 1788㎡, H 전 1679㎡, I 전 1448㎡, J 전 1821㎡로 분할하였다

(이하 위 분할 전후의 토지를 각각 ‘분할 전 토지’, ‘분할 후 토지’라 한다). 3) 원고는 1976. 2. 27. 분할 후 토지 중 H 전 1679㎡(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

)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후 1995. 5. 8. 자녀인 K과 L에게 각 2분의 1 지분씩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다. 나.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의 등기부상 소유자와 실제 소재지 1) 피고는 1966. 9. 22. 농가주택인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2) 이 사건 건물은 분할 전 토지 위에 소재한 것으로 등기되어 있으나, 실제로 분할 후 토지를 기준으로 할 때 이 사건 토지 위에 소재하고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 갑 제2호증의 1, 갑 제3호증의 2, 갑 제6호증의 1 내지 3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원고 주장의 요지 원고는 1976. 2. 27.경 F로부터 이 사건 토지를 매수하면서 이 사건 건물도 매수하였으나,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어 있는 사실을 알지 못하여 그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못하였다.

원고는 이 사건 건물을 매수한 이후 망 M으로 하여금 이 사건 토지 등을 관리하게 하면서 이 사건 건물을 농원관리용 주거지로 사용하게 하는 등 이 사건 건물을 20년 이상 소유의 의사로 평온공연하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