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춘천지방법원 2015.4.10.선고 2014나3355 판결
부당이득급
사건

2014나3355 부당이득급

원고,피항소인

국민건강보험공단

피고,항소인

근로복지공단

제1심판결

춘천지방법원원주지원2014.6.13. 선고2014가소56105판결

변론종결

2015. 3. 20.

판결선고

2015. 4. 10.

주문

1. 제1심 판결 중 아래에서 지급을 명하는 돈을 초과하는 피고 패소부분을 취소하고, 그 취소부분에 해당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

피고는 원고에게 137,630원 및 이에 대하여 2011. 12 . 23.부터 2015. 4. 10.까지는 연 5% 의,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20 % 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 하라.

2. 피고의 나머지 항소를 기각한다.

3. 소송총비용 중 1/10은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한다.

청구취지및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는 원고에게 137,630원 및 이에 대하여 2011. 7. 21.부터 이 사건 소장부본 송달 일까지는 연 5% 의,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20 % 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

2.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A은 주식회사 신우전기의 근로자로 일하다가 2011. 5. 16. 업무상 과실로 '기타 손목 및 손의 표재성 손상' 의 상병(이하 '이 사건 상병'이라 한다) 을 입고 2011. 5. 16. 부터 2011. 5. 20.까지 B병원 등에서 진료를 받았다.

나. 원고는 위와 같이 A이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음으로써 발생한 치료비 중 원고 부담분 137,630원을 해당 요양기관에 지급하였다.

다. A은 이 사건 상병이 업무상 재해라고 주장하면서 피고에 대하여 요양급여 신청 을 하였고, 피고는 2011. 6. 3. A에 대하여 산업재해승인 결정을 하였다.

라. 한편 A은 2011. 5. 16. 사업주인 주식회사 신우전기로부터 30만 원을 지급받고 이 사건 상병에 관하여 2장의 합의서를 작성하였는데, 위 합의서에는 각각 '상기 합의 금으로 치료비 보상이 완료되고 추후 어떠한 법적 및 이의제기를 하지 않을 것을 합의 합니다' 및 '상기 합의금으로 산재 및 근재에 대한 처리 및 보상이 완료되고, 추후 어 떠한 법적 및 이의제기를 하지 않을 것을 합의합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3호증 및 을 제1, 2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주장 및 판단

가. 당사자들의 주장 및 이 사건의 쟁점

1) 원고는, A이 이 사건 상병을 산업재해로 인정받기 전인 2011. 5. 16.부터 2011. 5. 20.까지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음으로써 발생한 건강보험 요양급여 137,630원을 원고가 요양기관에 우선 지급하였으므로, 피고는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11. 12. 31. 법률 제111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산재보험법'이라 한다) 제90조 제1항, 제42조 제1항에 따라 원고에게 요양급여 비용을 정산해줄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2 ) 이에 대하여 피고는, 원고가 A에 대하여 요양급여를 제공하기 전인 2011. 5 . 16.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자인 사업주가 A에게 이 사건 상병에 관하여 구 산재보험법 상 요양급여에 상당하는 금품을 미리 지급함으로써 사업주가 구 산재보험법 제89조에 따라 A의 피고에 대한 보험급여청구권을 이미 대위취득하였으므로, 원고는 그 후에 A 에게 제공한 요양급여를 이유로 피고에게 그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없다고 주장한

3) 따라서 이 사건의 쟁점은 재해근로자가 사업주로부터 업무상 재해에 관하여 치 료비 명목으로 금품을 지급받은 후 피고가 재해근로자에 대하여 산업재해승인 결정을 하기 전까지 재해근로자가 원고로부터 요양급여를 제공받은 경우, 원고가 피고에 대하 여 위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나. 관계 법령

별지 기재와 같다.

다. 판단

1) 사업주와의 합의 이후 원고가 제공한 요양급여 비용에 대한 정산 청구 가부

가) 구 국민건강보험법(2011. 12. 31. 법률 제11141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 이하 같다 ) 제48조 제1항 제4호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가 업무상 또는 공무상 질병·부상 재해로 인하여 다른 법령에 의한 보험급여를 받게 되는 때에는 보험급여를 하지 아니한다' 고 규정하고 있는 한편, 구 산재보험법 제42조 제1항 은 '요양급여의 신청을 한 자는 근로복지공단이 이 법에 따른 요양급여에 관한 결정을 하기 전에는 「국민건강보험법」 제39조에 따른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90조 제1항은 '근로복지공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42조 제1항에 따라 이 법에 따른 요양급여의 수급권자에게 건강보험 요양급여를 우선 지급하고 그 비용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그 건강보험 요양급여가 이 법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요양 급여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그 요양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고 규 정하고 있다. 또한 구 산재보험법 제90조 제2항은 '근로복지공단이 수급권자에게 요양 급여를 지급한 후 그 지급결정이 취소된 경우로서 그 지급한 요양급여가 「국민건강보 험법」 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건강보험 요양급여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근로복지 공단은 그 건강보험 요양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4조의3은 '건강보험공단은 근 로복지공단이 이 법에 따라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에게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제40조에 따른 요양급여를 지급한 후 그 지급결정이 취소된 경우로서 그 요양급여의 비용을청구하는 경우에는 그 요양급여가 이 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는 요양급여에 상 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그 요양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

이와 같이 구 산재보험법구 국민건강보험법구 산재보험법에 따른 요 양급여의 신청을 한 사람에 대하여, 요양급여의 신청 이후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승 인 결정이 있기 전까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먼저 요양급여를 제공한 후 근로복지공 단에 그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근로복지공단이 산업재해승 인 결정을 하여 이미 요양급여를 제공한 이후에 그 지급결정이 취소된 경우에는 근로 복지공단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그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 고 있는 취지는, 국민에 대한 사회보험급여 중 산업재해로 인한 부분은 산업재해보상 보험을 통하여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국민건강보험을 통하여 제공하되, 근로자 의 질병·부상 재해가 산업재해로 인한 것인지 아닌지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일단 근로 자는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를 제공받도록 하고, 그 비용에 관해서는 사후적으로 양 기관이 실체관계에 따라 별도의 절차를 통해 정산하도 록 함으로써 해당 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급여 제공의 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 산재보험법 제87조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8조가 제3자의 행위로 인하여 보험급 여사유가 발생하여 수급권자가 그 제3자로부터 손해배상을 받는 경우 근로복지공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취할 수 있는 조치에 관하여 이와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는 이유 도 위와 같은 입법취지의 차이 때문이다.

나 ) 따라서 위 각 정산규정에서 말하는 '구 산재보험법 또는 구 국민건강보험 법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요양급여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란 구 산재보험법 제40조구 국민건강보험법 제4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양급여의 지급요건을 충족 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하고, 이와 달리 수급권자가 현실적으로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하여 요양급여의 제공을 청구할 수 있는 경 우를 의미한다고 볼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수급권자가 업무상 재해와 동일한 사유로 보험급여에 상당한 금품을 제공받아 구 산재보험법 제80조 제3항에 따라 근로복지공단 으로부터 요양급여를 지급받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거나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자 인 사업주가 수급권자인 재해근로자에게 보험급여에 상당하는 금품을 미리 제공하고 구 산재보험법 제89조에 따라 그 재해근로자의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를 대위하는 경우 라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근로복지공단의 요양승인 이전에 이루어진 요양급여에 관하 여 구 산재보험법 제90조 제1항, 제42조 제1항에 따라 근로복지공단에 대하여 정산금 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사업주가 근로복지공단에 대하여 구 산재보험법 제89조에 따 른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근로복지공단이 부당하게 이중으로 요양급여를 지급하여야 하 는 경우에는 근로복지공단은 구 산재보험법 제8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수급권자에 대하여 부당이득을 징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업주가 재해근로자에게보험급여에 상당하는 금품을미리 제 공한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근로복지공단에 대하여 재해근로자에게 이미 제공한 요 양급여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서는 요양급여 제 공 당시 알 수 없는 우연한 사정에 의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 을 받을 수 있는지 아닌지가 결정되므로 부당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당한 요양급 여 제공을 방지하기 위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아직 산업재해승인 결정을 받지 못한 재해근로자에게 요양급여를 제공할 때 매번 해당 근로자가 사업주로부터 미리 지급받 은 금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면, 재해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급여 제공의 공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법률관계가 불안정해짐에 따른 불이익은 고스란히 재해근로자가 부담하게 되므로 앞서 살펴 본 각 정산규정의 입법취 지에도 반하게 된다.

다 )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에 선 피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고, 원고는 A이 미 리 사업주로부터 치료비 명목으로 합의금 30만 원을 지급받은 것과 무관하게 피고에 대하여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을 청구할 수 있다.

2) 소결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원고가 우선 제공한 요양급여의 비용을 지급할 의무 가 있고, 이와 같은 피고의 정산금지급의무는 이행 기한의 정함이 없는 채무이므로 피 고는 이행청구를 받은 때부터 지체책임을 진다고 할 것인데(대법원 2010. 1. 28. 선고 2009다24187, 24194 판결, 대법원 2014. 12. 24. 선고 2014다218849 판결 등 참조), 원고가 2011. 12. 22. 피고에 대하여 정산금의 지급을 청구한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 툼이 없으므로, 피고는 원고에 대하여 위 정산금채권 137,630원 및 이에 대하여 이행 청구 다음날인 2011. 12. 23 .부터 피고가 그 이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항쟁함 이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이 판결 선고일인 2015. 4. 10.까지는 민법이 정한 연 5% 의 ,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정한 연 20% 의 각 비 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위 인정범위 내에서 이유 있어 이를 인용하고 나머 지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할 것인데, 제1심 판결 중 위 인정 금원을 초과 하여 지급을 명한 피고 패소부분은 이와 결론을 달리하여 부당하므로 이를 취소하고 그 취소부분에 해당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며, 피고의 나머지 항소는 이유 없어 이 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최한돈 (재판장)

장민석

이소진

별지

관계법령

제36조 (보험급여의 종류와 산정 기준 등 )

① 보험급여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진폐에 따른 보험급여의 종류는 제1호의 요

양급여, 제4호의 간병급여, 제7호의 장의비, 제8호의 직업재활급여, 제91조의3에 따른 진

폐보상연금 및 제91조의4에 따른 진폐유족연금으로 한다 .

1 요양급여

2. 휴업급여

3. 장해급여

4 . 간병급여

5. 유족급여

6. 상병( 傷病)보상연금

7. 장의비(葬儀費 )

8. 직업재활급여

제40조(요양급여)

① 요양급여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경우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요양급여는 제43조제1항에 따른 산재보험 의료기관에서 요양을 하게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요양을 갈음하여 요양비를 지급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경우에 부상 또는 질병이 3일 이내의 요양으로 치유될 수 있으면 요양급여를 지급

하지 아니한다.

④ 제1항의 요양급여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1. 진찰 및 검사

2 . 약제 또는 진료재료와 의지(義肢) 그 밖의 보조기의 지급

3. 처치, 수술, 그 밖의 치료

4.재치료

15. 입원

6. 간호 및 간병

7. 이송

8.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⑤ 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요양급여의 범위나 비용 등 요양급여의 산정 기준은 고용노동부령

으로 정한다 .

(⑥ 업무상의 재해를 입은 근로자가 요양할 산재보험 의료기관이 제43조제1항제2호에 따른 상

급종합병원인 경우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 제2조제1호에 따른 응급환자이거나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근로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요양할 필요

가 있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어야 한다.

제41조(요양급여의 신청)

① 제40조 제1항에 따른 요양급여(진폐에 따른 요양급여는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 를

받으려는 자는 소속 사업장, 재해발생 경위, 그 재해에 대한 의학적 소견 , 그 밖에 고용노

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서류를 첨부하여 공단에 요양급여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요양급여 신청의 절차와 방법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제42조 (건강보험의 우선 적용 )

①① 제41조 제1항에 따라 요양급여의 신청을 한 자는 공단이 이 법에 따른 요양급여에 관한 결

정을 하기 전에는 「 국민건강보험법」 제39조에 따른 요양급여 또는 「 의료급여법」 제7조

에 따른 의료급여( 이하 "건강보험 요양급여등" 이라 한다) 를 받을 수 있다.

제80조(다른 보상이나 배상과의 관계)

③ 수급권자가 동일한 사유로 「민법」 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라 이 법의 보험급여에 상당한

금품을 받으면 공단은 그 받은 금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환산한 금액의 한

도 안에서 이 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다만 , 제2항 후단에 따라 수급권

자가 지급받은 것으로 보게 되는 장해보상일시금 또는 유족보상일시금에 해당하는 연금액

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84조 (부당이득의 징수 )

① 공단은 보험급여를 받은 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 급여액에 해당하는

금액(제1호의 경우에는 그 급여액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 )을 징수하여야 한다 . 이 경우 공

단이 제90조 제2항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등에 청구하여 받은 금액은 징수할 금액에서

제외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경우

2. 수급권자 또는 수급권이 있었던 자가 제114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신고의무

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부당하게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경우

3. 그 밖에 잘못 지급된 보험급여가 있는 경우

③ 공단은 산재보험 의료기관이나 제46조 제1항에 따른 약국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면 그 진료비나 약제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징수하여야 한다 . 다만 , 제1호의 경우에는

그 진료비나 약제비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 제44조제1항에 따라 과징금을 부과하는 경우에

는 그 진료비에 해당하는 금액) 을 징수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진료비나 약제비를 지급받은 경우

2. 제40조 제5항 및 제91조의9 제3항에 따른 요양급여의 산정 기준을 위반하여 부당하게 진료

비나 약제비를 지급받은 경우

3 . 그 밖에 진료비나 약제비를 잘못 지급받은 경우

제85조( 징수금의 징수 )

제39조 제2항에 따른 보험급여액의 징수, 제78조에 따른 장해특별급여액의 징수, 제79조에 따 른 유족특별급여액의 징수 및 제84조에 따른 부당이득의 징수에 관하여는 보험료징수법 제27 조, 제28조 , 제29조 , 제30조 , 제32조, 제39조 , 제41조 및 제42조를 준용한다. 이 경우 "건강 보험공단" 은 "공단"으로 본다.

제86조 (보험급여 등의 충당 )

① 공단은 제84조 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부당이득을 받은 자, 제84조 제2항에 따라 연대책임

이 있는 보험가입자 또는 산재보험 의료기관에 지급할 보험급여진료비 또는 약제비가 있

으면 이를 제84조에 따라 징수할 금액에 충당할 수 있다 .

② 보험급여 · 진료비 및 약제비의 풍당 한도 및 중당 절차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87조( 제3자에 대한 구상권 )

① 공단은 제3자의 행위에 따른 재해로 보험급여를 지급한 경우에는 그 급여액의 한도 안에서

급여를 받은 자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代位)한다. 다만, 보험가입자인 2

이상의 사업주가 같은 장소에서 하나의 사업을 분할하여 각각 행하다가 그 중 사업주를 달

리하는 근로자의 행위로 재해가 발생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제1항의 경우에 수급권자가 제3자로부터 동일한 사유로 이 법의 보험급여에 상당하는 손해

배상을 받으면 공단은 그 배상액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환산한 금액의 한도

안에서 이 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③ 수급권자 및 보험가입자는 제3자의 행위로 재해가 발생하면 지체 없이 공단에 신고하여야

한다.

제89조 (수급권의 대위 )

보힘가입자(보험료징수법 제2조 제5호에 따른 하수급인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가 소속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에 관하여 이 법에 따른 보험급여의 지급 사유와 동일한 사유로 「민법」 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라 보험급여에 상당하는 금품을 수급권자에게 미리 지급한 경 우로서 그 금품이 보험급여에 대체하여 지급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보험가입자는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수급권자의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를 대위한다.

제90조 (요양급여 비용의 정산 )

① 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 제12조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의료급여법」 제5조

따른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 이하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이라 한다) 이 제42조 제1항에 따

라 이 법에 따른 요양급여의 수급권자에게 건강보험 요양급여등을 우선 지급하고 그 비용

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그 건강보험 요양급여등이 이 법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요양급여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그 요양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

② 공단이 수급권자에게 요양급여를 지급한 후 그 지급결정이 취소된 경우로서 그 지급한 요

양급여가 「국민건강보험법」 또는 「의료급여법」 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건강보험 요양

급여등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공단은 그 건강보험 요양급여등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민

건강보험공단등에 청구할 수 있다.

제41조(요양급여)

① 가입자와 피부양자의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요양급여를 실시한다 .

1. 진찰· 검사

2. 약제(藥劑), 치료재료의 지급

3. 처치 · 수술 및 그 밖의 치료

4 . 예방 · 재활

5. 입원

6. 간호

7. 이송( 移送)

제47조(요양급여비용의 청구와 지급 등 )

① 요양기관은 공단에 요양급여비용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 이 경우 제2항에 따른 요양급

여비용에 대한 심사청구는 공단에 대한 요양급여비용의 청구로 본다 .

제48조(급여의 제한 )

(①) 공단은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때에는 보험급여를 하지

아니한다.

4. 업무상 또는 공무상 질병 · 부상· 재해로 인하여 다른 법령에 의한 보험급여나 보상 또는

보상을 받게 되는 때

제52조( 부당이득의 징수)

① 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 또는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요양기

관에 대하여 그 급여 또는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한다.

③ 제1항의 경우에 있어 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와 같은 세대

에 속한 가입자(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가 피부양자인 경우에는 그

직장가입자를 말한다 ) 에 대하여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와 연대하

여 동항의 규정에 의한 징수금을 납부하게 할 수 있다.

④ 제1항의 경우에 있어 요양기관이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부터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요양급여비용을 받은 때에는 공단은 당해 요양기관으로부터 이를 징수하여 가입자 또는 피

부양자에게 지체없이 지급하여야 한다.

제54조의3(요양급여 비용의 정산 )

공단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0조에 따른 근로복지공단이 이 법에 따라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에게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른 요양급여를 지급한 후 그 지급결정이 취소된 경우로서 그 요양급여의 비용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그 요양급여가 이 법에 따라 실시 할 수 있는 요양급여에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 그 요양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할 수 있 다 .

제58조(구상권 )

① 공단은 제3자의 행위로 보험급여사유가 생겨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에게 보험급여를 한 경 우에는 그 급여에 들어간 비용 한도에서 그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권리를 얻는다.

(② 제1항에 따라 보험급여를 받은 사람이 제3자로부터 이미 손해배상을 받은 경우에는 공단은 그 배상액 한도에서 보험급여를 하지 아니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