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전주지방법원 2018.01.19 2016나10172
건물등철거
주문

1. 당심에서 교환적으로 변경된 예비적 청구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769,000원과 이에 대하여...

이유

1. 인정 사실

가. 1995. 4. 7. 전북 부안군 J 대 780㎡(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에 관하여 1984. 12. 15.자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K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K는 2008. 6. 13. 사망하였고, 2009. 8. 13. 상속을 원인으로 하여 K의 자녀들인 피고, C, H, I, D, E, F, G 명의의 지분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나. 이 사건 토지 중 별지 도면 표시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27의 각 점을 차례로 연결한 선내 ‘ㄱ’부분 지상에 벽돌조 기와지붕 슬레이트 처마 단층 주택 139㎡, 같은 도면 표시 23, 24, 25, 26, 23의 각 점을 차례로 연결한 선내 ‘ㄴ’부분 지상에 슬래브 처마 단층 화장실 10㎡, 같은 도면 표시 43, 44, 7, 8, 9, 43의 각 점을 차례로 연결한 선내 ‘ㄷ’부분 지상에 블록조 슬레이트 처마 단층 창고 22㎡(이하 위 주택, 화장실, 창고를 합하여 ‘이 사건 건물’이라고 한다)가 각 미등기 상태로 있고, 별지 도면 표시 2, 3, 4, 5, 6, 7, 8, 9, 10, 11, 24, 23, 22, 21, 20, 19, 2의 각 점을 차례로 연결한 선내 부분 678㎡(이하 ‘이 사건 계쟁 토지’라고 한다)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 및 주변의 담장 등의 소유 및 사용으로 인한 사실적 지배가 미치고 있다.

다. 이 사건 건물이 신축된 연도는 명확하지 않으나, 재산세 과세대장에는 1980년경 신축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재산세 과세대장에 기재된 이 사건 토지 지상 건물은 이 사건 건물의 현황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피고는 1994. 8. 16. 이 사건 토지와 같은 지번에 전입한 이후로 그 이전부터 위 건물에 거주하던 K와 함께 위 건물에 거주하였고, K가 사망한 이후로도 현재까지 배우자 및 자녀들과 함께 위 건물에 거주하고 있다. 라.

K는 1995년경 이 사건 토지 및 건물에 대한 취득세를 납부하였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