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1.27 2014가단5103452
사해행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주식회사 A저축은행(이하 ‘이 사건 은행’이라고만 한다)은 2013. 4. 30. 이 법원 2013하합55호로 파산선고를 받았고, 원고가 파산관재인으로 선임되었다.

나. C은 2005. 3. 30.부터 2008. 2. 1.까지 이 사건 은행의 이사로 재직하였던 자이고, 피고는 위 C의 배우자이다.

다. C은 2009. 5. 15. 6,000,000원, 같은 날 5,100,000원, 2009. 8. 7. 5,170,000원 등을 자신의 은행계좌에서 피고의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지급하였다. 라.

원고는 C이 이 사건 은행에 재직하는 기간 동안 주식회사 두리디앤씨, D, E, F, G, H, I, J, K 등에게 적정한 신용조사 및 채권보전조치 없이 부당 대출을 승인함으로 인하여 이 사건 은행에 거액의 금전적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하면서 이 법원 2014가합514764호로 원고 주장의 손해배상액 10,030,000,000원 중 일부인 599,000,000원의 지급을 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 내지 6호증, 갑 제7호증의 1, 2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의 주장

가. 원고 C은 이 사건 은행 이사로 근무하면서 규정에 위반된 부당대출에 관여하여 이 사건 은행에 거액의 재산상 손해를 입혔고, 이 사건 은행의 파산관재인인 원고에게 이를 배상할 의무가 있음에도, 채무초과 상태에서 처인 피고에게 2009. 5. 15. 6,000,000원, 같은 날 5,100,000원, 2009. 8. 7. 5,170,000원을 각 증여하였는바, 위 각 증여계약은 이 사건 은행을 비롯한 일반 채권자들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고, 수익자인 피고의 악의는 추정된다.

따라서 C과 피고 사이에 체결된 위 각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원상회복의무의 이행으로서 피고는 원고에게 위 증여 금원 합계액인 16,27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피고 C으로부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