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8.26 2016가합507531
부당이득반환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피고 산하 강릉세무서장은 원고에 대하여 별지

2. 목록 ‘처분’란 기재와 같이 2010년도~2014년도 귀속 종합부동산세 및 농어촌특별세 부과처분(이하 ‘이 사건 각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고, 원고는 이를 같은 목록 ‘납부일’란 기재 일자에 각 납부하였다.

나. 강릉세무서장은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 제3항, 제14조 제3항, 제6항에 따라 종합부동산세액을 계산하면서, 공제되는 재산세액[구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2015. 11. 30. 대통령령 제2667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009. 2. 4. 대통령령 제212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이 사건 시행령’이라 한다

) 제4조의2, 제5조의3 제1항, 제2항]을 산정함에 있어서 종합부동산세법 시행규칙 제5조 제2항 [별지 제3호 서식 부표⑵ 중 작성방법]에 기재된 ‘(공시가격 - 과세기준금액) × 종합부동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 ×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 × 재산세 표준세율’의 산식(이하 ‘이 사건 시행규칙 산식’이라 한다)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여 이 사건 각 처분을 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4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 요지 이 사건 시행규칙 산식은 모법인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 제3항, 제14조 제3항, 제6항 및 이 사건 시행령 제4조의2, 제5조의3의 위임범위를 벗어나 종합부동산세에서 공제되는 재산세액을 축소변경함으로써 모법의 근거 없이 과세범위를 확대하였으므로, 무효이다.

이 사건 각 처분 중 정당세액을 초과하는 부분은 무효인 이 사건 시행규칙 산식에 근거하여 그 하자가 중대명백하므로, 당연무효이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원고가 납부한 위 종합부동산세 및 농어촌특별세에서 적법한 계산방법에 의하여 산정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