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9.08.23 2019노1068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등
주문

피고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1) 사실오인 피해자 F과 피고인이 중고차매매사업을 동업하기로 함에 따라 피해자가 그 소유의 광주시 G 소재 2,575㎡(이하 ‘이 사건 광주 토지’라 한다

)를 담보로 H로부터 금원을 차용하여 이를 위 사업에 투자하기로 하였고, 피고인은 위 차용금을 피해자의 직원인 K과 협의하여 사용하였으므로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2) 양형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형(징역 8월)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나. 검사 1) 사실오인 가) 피해자 B에 대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의 점 피고인으로부터 주식회사 S(이하 ‘S’이라 한다)에 근저당권을 설정해 줄 것이라는 설명을 듣지 못하였고 이를 알았다면 자신 명의의 근저당권 해지에 관한 서류를 주지 않았을 것이라는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고 신빙성이 있음에도, 원심은 이를 배척하고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는바, 원심판결에는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나) 피해자 C에 대한 각 사기의 점 관련 형사재판에서 피고인에게 과천시 R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이하 ‘R 상가’라 한다

) AE호(이하 ‘이 사건 AE호’라 한다

)를 독자적으로 분양하거나 처분할 권한이 없었음이 인정된 바 있고, 피고인이 그러한 권한이 있는 것처럼 기망하여 금원을 편취하였다는 피해자의 진술이 충분히 신빙성이 있음에도, 원심은 이를 배척하고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이 부분 각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는바, 원심판결에는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2) 양형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위 형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피고인의 사실오인 주장에 대한 판단 피고인은 원심에서도 이 부분 항소이유와 같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