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지방법원 2016.12.21 2015가단228802
공탁금출급권자확인의소
주문

1. 피고가 2007. 5. 21. 울산지방법원 2007년 금제2036호로 공탁한 9,613,500원에 대한...

이유

1. 기초사실

가. 경남 울주군 D(이후 울산 울주군 E로 행정구역 명칭변경되었다) F 전 1,924㎡(이하 ‘이 사건 분할 전 토지’라 한다)에 관하여 1912. 6. 30. 경남 울산군 G에 있는 H이 사정받은 것으로 구 토지대장에 기재되어 있다.

나. 이 사건 분할 전 토지는 1995. 11. 7. 위 F 전 623㎡, I 전 577㎡, J 전 724㎡로, 위 F 전 623㎡는 2006. 1. 4. F 전 431㎡, K 전 192㎡로, 위 J 전 724㎡는 2006. 1. 4. J 전 539㎡, L 전 185㎡로 각 분할되어 최종적으로 ① 위 F 전 431㎡, ② 위 I 전 577㎡, ③ 위 J 전 539㎡, ④ 위 K 전 192㎡, ⑤ 위 L 전 185㎡가 되었다.

다. 미등기상태로 남아있던 위 각 토지 중 ④ 위 K 전 192㎡, ⑤ 위 L 전 185㎡토지는 피고가 시행한 경부고속철도(울산∼부산) 사업에 편입되었고, 피고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공익사업법’이라 한다)에 따른 수용재결 절차를 거쳐 2007. 5. 21. 울산지방법원 2007년 금제2036호로 망 H을 피공탁자로 하여 9,613,500원을 토지보상금으로 공탁하였다.

② 위 I 전 577㎡ 토지 또한 위 경부고속철도(대구울산간, 울주군 18차) 사업에 편입되었고, 피고는 공익사업법에 따른 수용재결 절차를 거쳐 2011. 5. 25. 울산지방법원 2011년 금제974호로 망 H을 피공탁자로 하여 27,926,800원을 토지보상금으로 공탁하였다

(이하 위 각 공탁금을 ’이 사건 각 공탁금‘이라 한다). 라.

피고는 2007. 6. 12. 위 ④, ⑤ 토지에 관하여, 2014. 4. 11. 위 ② 토지에 관하여 각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그 후 위 ④, ⑤ 토지는 국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 되었다. 위 ②, ④, ⑤ 토지를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 마.

한편 원고 A은 위 ①, ③ 토지에 관하여 ‘미등기토지 소유자 주소정정 신청’을 하여 2013. 12. 23. 위 각 토지의 토지대장상...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