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21.01.21 2020노1593
살인미수등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징역 4년에 처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1)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피고인이 운전한 장소는 도로 교통 법상 ‘ 도로 ’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피고인에게 도로 교통법위반( 음주 운전) 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2) 양형 부당 원심이 선고한 형( 징역 4년 6개월)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나. 검사 원심이 선고 한 위 형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다.

2. 판 단

가. 피고인의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주장에 관한 판단 1) 도로 교통법 제 44조 제 1 항은 “ 누구든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 노면 전차 또는 자전거를 운전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고 정하고, 구 도로 교통법 (2020. 6. 9. 법률 제 17371호로 일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 148조의 2 제 1 항은 위 조항을 2회 이상 위반한 경우 이를 가중처벌하고 있다.

도로 교통법 제 2조 제 1호는 ‘ 도로’ 란 도로 법에 따른 도로( 가목), 유료도로 법에 따른 도로( 나 목), 농어촌도로 정 비법에 따른 농어촌도로( 다목), 그 밖에 현실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 또는 차 마가 통행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로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장소( 라 목 )를 말한다고 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 26호는 ‘ 운전 ’이란 도로( 제 44조 ㆍ 제 45조 ㆍ 제 54 조 제 1 항 ㆍ 제 148조 ㆍ 제 148조의 2 및 제 156 조 제 10호의 경우에는 도로 외의 곳을 포함한다 )에서 차마 또는 노면 전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 조종을 포함한다) 을 말한다고 정의하면서 ‘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의 경우에는 도로 외의 곳에서 운전한 경우를 포함한다고 규정한다.

2)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이 2014. 8. 22. 서울 남부지방법원에서 도로 교통법위반( 음주 운전) 죄 등으로 벌금 500만 원을 선고 받은 사실, 그럼에도 2020. 3. 20. 혈 중 알콜 농도 0...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