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17.09.22 2014고단1305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
주문

피고인은 무죄. 피고인에 대한 판결의 요지를 공시한다.

이유

1. 공소사실 피고인은 피해자 F을 비방할 목적으로 2013. 11. 29. 불상지에서 닉네임 ‘G’, 아이 디 ‘H’ 로 트위터 계정에 접속하여 마치 피해자에게 자식이 있는 것처럼「 아 참 미스가 아니 제.. 처녀가 아니면서 처녀 행세 한다고 했제 ..I 가 자식이 있다고

했으니 믿을 만 한 기라~ 지구촌 민 여러 분! F은 미스가 아니라 J 똥 테 년 입니다.

J 똥 테년이 누런 똥 테를 금테 인양 세상을 현혹시키고 있음 다 속지 마십시오

」 라는 허위사실을 적시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 범죄 일람표 기재와 같이 2013. 11. 29. 경부터 2013. 12. 8. 경까지 8회에 걸쳐 피해자를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거짓의 사실을 드러 내 어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

2. 법리 ‘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70조 제 2 항의 정보통신망을 통한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 훼손죄가 성립하려면 그 적 시하는 사실이 허위이어야 할 뿐 아니라, 피고인이 그와 같은 사실을 적시함에 있어 적시사실이 허위 임을 인식하여야 하고, 이러한 허위의 점에 대한 인식 즉 범의에 대한 입증책임은 검사에게 있다(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도2186 판결, 대법원 2010. 10. 28. 선고 2009도4949 판결 등 참조). 그런데 행위자가 적시된 사실이 허위라는 것을 인식하였는지 여부는 성질상 외부에서 이를 알거나 증명하기 어려우므로, 공표된 사실의 내용과 구체성, 소명자료의 존재 및 내용, 피고인이 밝히는 사실의 출처 및 인지 경위 등을 토대로 피고인의 학력, 경력, 사회적 지위, 공표 경위, 시점 및 그로 말미암아 예상되는 파급효과 등의 여러 객관적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 대법원 2005. 7. 22. 선고 2005도 2627 판결, 대법원 2014. 3. 13. 선고 2013도 12430 판결 등의 취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