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창원지방법원 2017.07.13 2017노154
근로기준법위반등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2015 고단 192호 관련) 1) 재단법인 F( 이하 편의 상 위 재단법인 산하 ‘G 요양병원’ 과 구분하지 아니하고 ‘ 이 사건 의료법인’ 이라고 통칭한다) 은 재단 이사장과 행정직원들이 병원을 운영하는 구조인데, I은 행정직원 중 최상급 자인 행정 원장으로 재단 이사장이었던 피고인을 제외하면 사실상 가장 높은 직책에 있었고, 이 사건 의료법인에 근무할 근로자들을 채용함에 있어서 근로 조건의 결정을 포함한 근로 계약의 체결, 임금 지급에 대한 결정권 등을 실질적으로 행사하여 왔고, 병원 운영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한 피고인은 형식적인 결재만 하였다.

한편 이 사건 의료법인으로부터 그 진료비채권을 양도 받은 AE이 의료보험공단으로부터 매달 보험 급여를 받아 이를 I 명의의 부산은행 계좌에 입금하였고, 피고인 또한 병원 운영비 명목으로 위 계좌에 입금하였는데, I은 급여 일 무렵 위 돈을 이 사건 의료법인의 법인 계좌로 송금한 다음 그 법인 계좌에서 임직원들의 급여를 지급하였다.

즉 I은 이 사건 의료법인의 행정 원장으로서 임직원의 급여지급 업무를 포함한 병원운영자금 전체를 관리하고 있었다고

할 것이므로, I은 당시 재단 이사장이었던 피고인과 함께 이 사건 의료법인을 실질적으로 운영한 사용자 또는 피고인으로부터 이 사건 의료법인에 대한 운영을 위탁 받은 사업경영 담당자 또는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봄이 상당하고, 근로 기준법 소정의 근로자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앞서 본 바와 같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