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20.05.26 2020가단501074
건물인도
주문

피고는 원고에게,

가. 별지 ‘부동산의 표시’ 기재 건물을 인도하고,

나. 6,527,741원을...

이유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인정사실 1) 원고는 2010. 11. 15. 이 사건 건물에 관해 원고 명의의 각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2) 원고는 2019. 3. 11. 피고에게 이 사건 건물 합계 274㎡와 연결할 부분 221㎡를 합한 495㎡를 보증금 2,800만 원(계약금 200만 원은 2019. 3. 14.에, 1차 잔금 1,300만 원은 2019. 4. 1.에, 2차 잔금 1,300만 원 중 800만 원은 2019. 6. 5.에, 나머지 500만 원은 2019. 7. 5.에 각 지급), 차임 월 28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 임대차기간 2019. 3. 31.부터 2021. 3. 30.까지로 정하여 임대(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하였다.

이 사건 임대차계약 제4조에서는 “임차인의 차임 연체액이 3기의 차임액에 달하거나 제3조를 위반하였을 때 임대인은 즉시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라고 정하였다.

3) 원고는 2019. 11. 25. 피고에게 피고의 보증금 중 잔액 800만 원과 차임 7개월분 1,96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의 미지급을 이유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증명우편을 보냈다. 4) 원고는 2019. 12. 16. B에게 이 사건 건물을 증여하였고, 2019. 12. 18. 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나. 판단 1) 이 사건 건물 인도청구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임대차계약에 따른 피고의 차임 연체액이 3기의 차임액에 달하였고, 이를 이유로 한 원고의 이 사건 임대차계약 해지의 의사표시가 기재된 내용증명우편이 2019. 11. 말경 피고에게 송달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은 2019. 11. 말경 종료되었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건물을 인도할 의무가 있다. 2) 차임 지급청구 및 차임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 원고는 피고로부터 이 사건 임대차계약에 따른 보증금 2...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