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7.03.24 2016구단7259
기타이행강제금부과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재단법인 A의 소를 각하한다.

2. 원고 B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이유

1. 소의 적법 여부에 관한 판단(원고 재단법인 A 부분) 갑 제1호증, 을 제2호증의 각 기재에 의하면, 피고가 원고들에 대하여 2015. 12. 23.자 시정명령과 2016. 2. 15.자 이행강제금 부과예정 통지를 하였으나, 막상 2016. 3. 23.자 이 사건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은 원고 B에 대하여만 하였을 뿐 원고 재단법인 A에 대하여 위와 같은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을 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위 인정사실에 더하여 피고도 원고 재단법인 A에 대하여는 위와 같은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을 한 바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원고 재단법인 A의 이 사건 소는 존재하지 않는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것이어서 부적법하다

행정소송에 있어서 쟁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의 존부는 소송요건으로서 직권조사사항이라고 할 것이고 자백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설사 그 존재를 당사자들이 다투지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그 존부에 관하여 의심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직권으로 밝혀 보아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7. 27. 선고 92누15499 판결 등 참조). .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에 관한 판단(원고 B 부분) ⑴ 별지 이행강제금 산출내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고 B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2조 제1항을 위반하여 개발제한구역 내에서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담당을 설치하는 등의 위반행위를 하자, 피고는 원고 B에 대하여 법 제12조 제1항을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법 제30조, 제30조의2에 근거하여 2015. 12. 23.자 시정명령과 2016. 2. 15.자 이행강제금 부과예정 통지를 거쳐 2016. 3. 23.자 이 사건 이행강제금 부과처분(납부기한 2016. 4. 22., 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