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3.10.01 2012가단317153
추심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청구원인에 대한 판단

가. 인정사실 1) 원고는 B에 대한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가단198327 약정금 등 사건의 판결 정본에 기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타채24899호로 B의 피고에 대한 임금 및 퇴직금 등 채권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하였고, 위 법원은 2012. 8. 13. 원고의 신청대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발령하였으며(이하 ‘이 사건 추심명령’이라 한다

), 이 사건 추심명령은 2012. 8. 16. 피고에게 송달되었다. 2) 한편, B는 2012. 8. 16. 기준으로 피고에 대하여 15,109,020원의 퇴직금채권(이하 ‘이 사건 퇴직금채권’이라 한다)을 가지고 있었다.

[인정근거 : 다툼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나. 판단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고는 추심권자인 원고에게 위 인정의 이 사건 퇴직금 15,109,02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2. 피고의 주장에 대한 판단 민법 제489조는 “지급을 금지하는 명령을 받은 제3채무자는 그 후에 취득한 채권에 의한 상계로 그 명령을 신청한 채권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의 취지, 상계 제도의 목적 및 기능, 채무자의 채권이 압류된 경우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상황 등에 비추어 보면, 채권압류명령을 받은 제3채무자가 압류채무자에 대한 반대채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상계로써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하기 위하여는, 압류의 효력 발생 당시에 대립하는 양 채권이 상계적상에 있거나, 그 당시 반대채권(자동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것이 피압류채권(수동채권)의 변제기와 동시에 또는 그보다 먼저 도래하여야 한다

(대법원 2012. 2. 16. 선고 2011다45521 판결 참조). 을 제5, 6, 15 내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