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9.11.05 2016구단65391
재확인신체검사등급판정 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2011. 8. 22. 해군에 입대하여 2012. 3. 17. 부산정비창 내 P-88 함정 갑판에서 계류색(繫留索) 보강 작업을 하던 중 선체가 심하게 흔들려 왼손 검지손가락이 계류색에 말려들어가면서 첫 번째 마디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하였다.

나. 원고는 위 사고로 인한 ‘좌측 제2수지 원위지부 절단(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절단술, 피판술, 피부이식술, 성형술)’(이하 이 사건 상이라 한다)에 대하여 공상군경 요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상이등급구분을 위한 신규 및 재심신체검사를 실시하였으나 등급기준미달로 판정받았다.

다. 원고는 2016. 6. 14. 피고에게 재확인신체검사를 신청하였으나 피고는 2016. 9. 8.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원고의 상이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그 시행령에서 정하는 등급기준에 미달한다는 내용의 재확인 신체검사등급판정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 을 제1 내지 4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좌측 제2수지 원위지부 절단만이 아니라 해당 손가락의 인대, 근육 및 신경에도 손상을 입어 관절운동제한이 동반되어 있다.

그럼에도 피고는 신체검사에서 단순히 손가락의 절단된 부분이 등급기준에 부합하는지에만 주목하고 관절운동제한은 고려하지 아니하여 이 사건 처분을 한 위법이 있다.

나. 판단 ⑴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유공자법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4호에 의하면, 군인으로서 국가의 수호ㆍ안정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ㆍ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