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29918 판결
[부당이득금반환][공2009상,740]
Main Issues

[1] 구 소득세법 제61조 제4항 에 따라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과 합산하여 계산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에서 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에 대한 기납부세액 등을 공제한 금액을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액으로 결정·고지한 경우, 배우자의 확정된 국세환급금을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에 충당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국세환급금으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액에 충당할 수 있는 범위

Summary of Judgment

[1] 국세환급금의 충당은 국세기본법 제51조 제2항 , 같은 법 시행령 제31조 등에 그 요건이나 절차, 방법이 따로 정하여져 있고 그 효과로 납세의무의 소멸을 규정( 국세기본법 제26조 제1호 )하고 있으나, 위 충당이 납세의무자가 갖는 환급청구권의 존부나 범위 또는 소멸에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처분이라기보다는 충당행위가 있을 때 장래에 향하여 국세환급금채권과 조세채권이 대등액에서 소멸할 뿐이다. 그러므로 과세관청이 구 소득세법(2002. 12. 18. 법률 제67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 제4항 에 의하여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에 대한 세액을 계산하면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과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의 합계액을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으로 보고 계산한 금액에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과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에 대하여 이미 납부한 세액의 합계액을 공제한 금액을 그 세액으로 결정하여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로 납세고지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가리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확정된 국세환급금을 국세기본법 제51조 제2항 에 따라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에 충당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2] 구 소득세법(2002. 12. 18. 법률 제67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3항 은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배우자는 합산과세하는 자산소득에 대하여 연대하여 납세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연대하여 납부할 세액의 범위가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에 대한 세액에 한정됨은 위 조항의 법문상 명백하므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국세환급금으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액에 충당할 수 있는 범위는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된 자산합상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에 대한 세액으로 한정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Reference Provisions]

[1] Article 26 subparagraph 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ticle 51 (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ticle 3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ticle 61 (4) of the former Income Tax Act (amended by Act No. 6781 of December 18, 2002) / [2] Article 51 (2)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ticle 2 (3) of the former Income Tax Act (amended by Act No. 6781 of December 18, 202), and Article 61 (4) of the former Income Tax Act

Reference Cases

[1] Supreme Court Decision 98Du5194 delivered on October 22, 1999 (Gong1999Ha, 2440 delivered on April 25, 2000) Supreme Court Decision 98Du12987 delivered on April 25, 200

Plaintiff-Appellant

Plaintiff (Law Firm, Kim & Lee LLC, Attorneys Yu-soo et al., Counsel for the plaintiff-appellant)

Defendant-Appellee

Korea

Judgment of the lower court

Seoul High Court Decision 2007Na80147 decided April 3, 2008

Text

The part of the lower judgment against the Plaintiff is reversed, and that part of the case is remanded to the Seoul High Court.

Reasons

The grounds of appeal are examined in logical order.

1. Ground of appeal No. 3

Since the effect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s limited to a general case brought before the court on the ground that the law in question was the premise of the decision after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f the Constitutional Court, after the issuance of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based on the pertinent law, decided that the law that served as the basis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as unconstitutional, it would be the same as that of the law conducted without the basis of the law. However, in the case of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which became final and conclusive after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for filing a suit for cancellation, it shall not be deemed that the retroactive effect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does not affect the conclusion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Generally, the circumstance that the 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cannot be deemed objectively obvious before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made. Thus, the reason that the pertinent law, which served as the basis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before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only be the premise of the lawsuit seeking the cancell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the same purport, the court below is just in holding that once the second decision of this case was made after the period of revocation lawsuit, it cannot affect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hat was made thereafter, and that it cannot be viewed as a rightful invalidation. There is no error of law such as misunderstanding of legal principles as otherwise alleged in the ground of appeal.

2. Ground of appeal No. 4

Article 51(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concerning a national tax refund declares the legal doctrine that an immediate return of erroneously paid amount or refundable amount, the existence and scope of which have already been determined as unjust enrichment by the government, without filing an application for refund of the taxpayer, is consistent with the justice and fairness. As such, erroneous payment or refundable amount, the existence and scope of which have already been determined as such, may be claimed by a taxpayer as a civil lawsuit seeking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As global income tax taking the method of filing a return, the existence and scope of such tax base or refundable amount are determined by either a final return under Article 70 of the Income Tax Act or a decision of correction under Article 80 of the same Act, and thus, in such a case, a taxpayer may claim a refund of overpaid amount or refundable amount, the existence and scope of which have already been determined as such by the said final return or correction (see Supreme Court Decisions 94Da3405, Apr. 12, 1996; 9Da2364, Oct. 26, 1997).

한편, 국세환급금의 충당은 국세기본법 제51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1조 등에 그 요건이나 절차, 방법이 따로 정하여져 있고 그 효과로 납세의무의 소멸을 규정( 국세기본법 제26조 제1호 )하고 있으나, 위 충당이 납세의무자가 갖는 환급청구권의 존부나 범위 또는 소멸에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처분이라기보다는 충당행위가 있을 때 장래에 향하여 국세환급금채무와 조세채권이 대등액에서 소멸될 뿐이므로, 과세관청이 구 소득세법(2002. 12. 18. 법률 제67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61조 제4항 에 의하여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에 대한 세액을 계산하면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과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의 합계액을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으로 보고 계산한 금액에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과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금액에 대하여 이미 납부한 세액의 합계액을 공제한 금액을 그 세액으로 결정하여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로 납세고지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가리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확정된 국세환급금을 국세기본법 제51조 제2항 에 따라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에 충당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 대법원 1999. 10. 22. 선고 98두5194 판결 , 대법원 2000. 4. 25. 선고 98두12987 판결 참조).

According to the reasoning of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the plaintiff filed a report of 112,450,983 won with global income tax for the year 196 as of May 31, 1997 and paid all of them on the same day and July 15, 1997. The tax amount increased due to the tax authority's first decision of correction was late late. After that, on April 15, 2002, the head of Samsung Tax Office issued a additional notice of reduction of the tax amount to the plaintiff on the ground that the principal income is the non-party who is the plaintiff's spouse. The tax amount to be paid to the plaintiff is adjusted to 4,572,430 won on the ground that the plaintiff is the non-party, and the amount to be paid to the non-party is adjusted to 208,975,520 won for the non-party (the second decision of correction). The non-party's total determined tax amount - the non-party's additional notice of reduction to the plaintiff around that time.

According to the above legal principles, the plaintiff's claim for the national tax refund was determined upon the second correction of April 15, 2002 by the head of Samsung Tax Office, and around that time, the existence and scope of the plaintiff's claim is determined. Under Article 61 (4) of the former Income Tax Act, the head of Samsung Tax Office determined the amount of global income tax by designating the non-party who is the plaintiff's spouse as the principal income earner and treated the non-party's excess payment as the amount of the plaintiff's global income tax paid. The plaintiff's final refund of national tax cannot be

Nevertheless, the court below held that since the second decision of the Samsung District Tax Office is legitimate and effective, the defendant is legally entitled to continue to hold the remainder after deducting the second decision of correction from the Plaintiff’s already paid tax amount. Thus, the court below erred by misapprehending the legal principles on the confirm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national tax refund, which affected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3. Ground of appeal Nos. 1 and 2

구 소득세법 제2조 제3항 은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배우자는 합산과세하는 자산소득에 대하여 연대하여 납세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연대하여 납부할 세액의 범위가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에 대한 세액에 한정됨은 구 소득세법 제2조 제3항 의 법문상 명백하고 ( 대법원 1998. 10. 27. 선고 97누7233 판결 참조), 위와 같이 해석하는 한 이 사건 2차 경정결정 당시 위 조항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연대납세의무 범위를 위와 같이 해석한다면,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국세환급금으로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세액에 충당할 수 있는 범위도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된 자산합산대상배우자의 자산소득에 대한 세액으로 한정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피고로서는 원고의 기납부세액에서 원고에 대한 정당한 세액인 4,572,432원을 공제한 나머지 차액 부분을 원고가 소외인과 함께 공히 연대납세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소외인에 대한 2차 경정결정 세액에서 공제하는 방법으로 보유할 법률상 근거가 있다고 판단한 데에는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배우자 사이의 연대납세의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 점에서도 원심판결은 유지될 수 없다.

4. Conclusion

Therefore, the part of the lower judgment against the Plaintiff is reversed, and that part of the case is remanded to the lower court for a new trial and determination. It is so decided as per Disposition by the assent of all participating Justices on the bench.

Justices Park Si-hwan (Presiding Justice)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