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부산고등법원 2016.09.07 2016노434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장애인강제추행)등
Text

The prosecutor's appeal is dismissed.

Reasons

1. Summary of grounds for appeal;

A. Although the lower court could fully recognize this part of the facts charged in light of the following circumstances, it rendered a not guilty verdict on this part of the facts charged, by misunderstanding the facts.

1)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hereinafter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The term “disabled person” under Article 6(3) refers to “a person who is subject to considerable restrictions in daily life or social life due to any 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and the victim under this part of the facts charged falls under “disabled person.” 2) The Defendant was aware of the victim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light of the victim’s intellectual 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the victim could be easily recognized, and the Defendant recognized that the victim is a disabled person at the time of committing the crime as stated in this part of the facts charged.

B. The sentence of the lower court’s sentencing (one year of imprisonment and a fine of two million won, etc.) is too uneased and unreasonable.

2. Determination

가. 사실오인 주장에 대하여 1) 이 부분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15. 4. 29. 11:00경 부산 동구 D에 있는 E모텔 308호실 내에서, 피고인과 함께 있던 F을 만나러 온 지적장애 2급인 피해자 G(여, 25세)이 침대 위 자신과 F 사이에 누워 있는 것을 보고 강제추행하기로 마음먹고, 갑자기 손으로 상의를 입은 상태인 피해자의 가슴을 만진 후 피해자의 상의를 올리고 입으로 피해자의 젖꼭지를 빨았다. 이로써 피고인은 지적장애를 가진 피해자를 강제추행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성폭법 제6조 제3항의 장애인강제추행죄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인지능력, 항거능력 또는 대처능력 등이 비장애인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서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행사를 특별히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을 정도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