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11.27 2017가단5109536
구상금
주문

1.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주식회사 G과 전자금융거래배상책임보험 계약을 체결한 보험자이다.

나. 아래 표 기재와 같이 2013. 7. 22.경 H의 I은행 계좌(J)에서 성명불상자에 의해 27차례에 걸쳐 총 49,190,000원이 피고들의 계좌로 이체된 후 전액 인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순번 이름 금융회사 계좌번호 금액(원) 1 피고 B K조합 L 6,010,000 우체국 M 6,010,000 2 피고 C N은행 O 6,010,000 K조합 P 6,010,000 3 피고 D 우체국 Q 6,010,000 R조합 S 6,000,000 4 피고 E K조합 T 6,000,000 우체국 U 6,020,000 5 피고 F K조합 V 1,120,000 합계 49,190,000

다. G은 2013. 11. 19. H에게 49,190,000원을 지급하기로 합의하였고, 원고에게 보험금 지급청구를 하였다.

이에 원고는 2013. 11. 20. G에게 49,190,000원을 보험금으로 지급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부터 8, 11-1~4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청구에 관한 판단

가. 청구의 요지 피고들은 성명불상자에게 대가를 받기로 하고 자신들 명의의 계좌와 연결된 통장과 비밀번호를 양도하였는바, 이로 인하여 성명불상자가 파밍 수법으로 H 계좌를 해킹하여 H 계좌에 들어있던 금원을 피고들 명의의 계좌로 부정이체한 후 피고들 명의의 계좌에서 위 금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성명불상자의 범행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피고들의 계좌가 없었으면 성명불상자가 돈을 인출할 수 없어 범행계획을 완성할 수 없으므로, 당연히 피고들의 계좌 양도와 피해자인 H의 손해 사이에는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고들은 전자금융거래법위반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져야한다.

원고는 피고들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이 사건 피해를 보전하기 위하여 G에게 보험금 49,190,000원을 지급함으로써 상법 제682조 소정...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