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지방법원 2014.04.24 2013가단218634
소유권확인
주문

1.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1. 청구원인에 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등기되지 아니한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이하,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은 원래 G의 소유인데, G이 2000. 3. 12. 사망하여 G의 처 H과 G의 자녀들인 원고들이 이 사건 각 토지를 상속하였고, H이 2002. 6. 1. 사망하여 결국 이 사건 각 토지는 원고들이 각 1/6지분으로 소유하게 되었으므로 미등기 상태의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 위와 같이 원고들에게 있다는 점에 관하여 확인을 구한다.

나. 판단 살피건대, 1950. 12. 1.부터 시행된 지적법 및 그 시행령과 그 이후 개정된 지적법령에는 멸실된 지적공부의 복구에 관하여 달리 정함이 없다가, 1975. 12. 31. 법률 제2801호로 전문 개정된 지적법이 시행되면서 비로소 그 제13조에 근거한 같은법 시행령 제10조가, 지적공부를 복구할 때는 소관청은 멸실 당시의 지적공부와 가장 부합된다고 인정되는 자료에 의하여 토지 표시에 관한 사항을 복구등록하되, 소유자에 관한 사항은 부동산등기부나 확정판결에 의하지 않고서는 복구등록할 수 없도록 규정하는 한편, 부칙 6조에서는 ‘이 영 시행 당시 지적공부 중 토지 표시에 관한 사항은 복구되고 소유자는 복구되지 아니한 것(소관청이 임의로 소유자 표시를 한 것을 포함한다)에 대하여는 위 10조의 규정을 적용한다’라고 정하였으므로, 이처럼 법률 제2801호 지적법이 시행되기 이전에 소관청이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과세의 편의상 임의로 복구한 토지대장은, 비록 그 소유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각 규정의 내용을 고려할 때, 그러한 기재에 권리 추정력을 인정할 수는 없다

(대법원 2005. 7. 14. 선고 2005다22527 판결을 비롯한 대법원의 일관된 견해임). 다툼 없는 사실, 갑 제3 내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