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20.10.28 2019가단23852
전세권의저당권말소
주문

1.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1986. 7. 23. 접수 제26961호로 전세금 600만 원, 범위 소매점용 1층 소매점 66㎡의 1/2, 존속기간 1986. 7. 23.부터 1987. 7. 23.까지, 반환기 1987. 7. 23., 전세권자 C으로 된 전세권설정등기가 마쳐졌다.

나. 위 전세권설정등기에 관하여 1987. 3. 11. 접수 제8711호로 1987. 3. 10. 양도를 원인으로 하여 망 D 앞으로 전세권 이전의 부기등기가 마쳐졌다.

다. 망 D은 2014. 2. 8. 사망하였고, 피고들은 망 D의 상속인이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의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주장 및 판단

가. 당사자들의 주장 원고는 이 사건 부동산의 소유자인데, 1987. 7. 23. 전세계약기간이 만료되자, 망 D은 전세보증금 600만 원을 반환받고 이 사건 부동산을 당시 소유자에게 인도하였으며, 전세권은 적법하게 합의해지되었다.

따라서 망 D은 전세권설정등기를 말소할 의무가 있고, 망인을 상속한 피고들도 마찬가지이므로 피고들은 원고에게 청구취지 기재와 같이 이행할 의무가 있다.

이에 대하여 피고들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였으므로 원고가 전세금 및 그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 판단 직권으로 이 사건 소의 적법 여부에 관하여 살펴본다.

근저당권 이전의 부기등기는 기존의 주등기인 근저당권설정등기에 종속되어 주등기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어서 피담보채무가 소멸된 경우 또는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당초 원인무효인 경우 주등기인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만구하면 되고 그 부기등기는 별도로 말소를 구하지 않더라도 주등기의 말소에 따라 직권으로 말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기등기의 말소청구는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대법원 1995. 5. 26. 선고 95다7550 판결, 2000. 10. 10. 선고 2000다19526...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