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북부지방법원 2015.08.21 2014가단21745
건물명도
주문

1. 피고는 원고에게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을 인도하라.

2.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이유

1. 인정사실

가. 서울 노원구 B는 주택법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무주택세대주에게 임대할 목적으로 건설된 공공건설 임대주택으로서, 원고는 위 아파트의 소유자이다.

나. 원고는 2003. 8. 12. 피고와 사이에 별지목록 기재 아파트(이하 ‘이 사건 아파트’라고 한다)에 관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고, 이후 2년마다 갱신하여 오다가 최종적으로 2013. 9. 24. 임대보증금 31,490,000원, 월 차임 6,300원, 임대기간 2년으로 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

(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 다.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사건 임대차계약 일반조건 제10조(임대차계약의 해제 및 해지) ① 피고가 아래 각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우에는 원고는 이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거나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거절할 수 있다.

7. 주택법 제16조(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3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아 건설한 공공건설 임대주택의 임대차기간 중 다른 주택을 소유하게 된 경우 (후략) 이 사건 임대차계약 특수조건 제1조(임대차계약의 갱신) ① 원고는 임대주택의 입주요건(무주택세대주)을 유지하고 있는 피고와 2년 단위로 임 대차계약을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피고는 원고가 정한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등의 임대조건을 수락하고 임대차기간 만료일 1월 전까지 원고에게 계약갱신 의사를 통 보하여야 한다.

제10조(계약의 해제 또는 해지) ① 계약일반조건 제10조 제1항 각 호의 사유로 임대차계약이 해제 또는 해지되었을 경우에 피고는 임대주택을 원상회복하여 1개월 이내에 원고에게 명도하여야 한다. 라.

이 사건 아파트는 관련 법령에 따라 무주택세대주를 공급대상으로 하는 공공건설...

arrow